![]() 16일(현지시간) 일일 정례 기자회견 하는 멕시코 대통령. EPA/연합뉴스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정례 기자회견에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하고 대면 회담을 갖기로 했다”며 “카니 총리의 멕시코 방문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카니 총리와 저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서한을 받은 것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며 “캐나다와 마찬가지로 멕시코 역시 미국과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상 테이블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각각 공개한 서한에서 멕시코산 제품에 30%, 캐나다산 제품에 35%의 관세를 8월 1일부터 적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멕시코·캐나다는 2020년 7월 발효된 USMCA에 따라 주요 상품과 서비스를 무관세로 거래해 왔다. 그러나 올해 1월 2기 집권에 들어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불공정한 조약”이라 비판하며, 북미 이웃 국가에도 고율 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카니 총리와 USMCA의 틀을 유지하고 세부 규정들을 준수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밝히며, 이번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가 관세 공동 대응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USMCA는 유효기간 16년, 이행 사항 검토 주기 6년으로 설계돼 있으며, 북미 3국은 올해 하반기부터 검토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시기를 앞당겨 자국 협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또 멕시코 재계 인사들과 회의를 열고 미국 내 투자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고 덧붙였다.
최동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