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0월17일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남도교육감에게 질의하고 있다. 뉴시스 |
20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김 의원은 전날 전남CBS 시사포커스에 출연해 정국과 지역 현안을 놓고 대담하는 과정에서 “(탄핵정국에서) 미국 방문에 대해 사과하면서 당직을 내려놓겠다고 했는데 지역위원장직을 유지하고 있다”는 진행자의 질문에 ‘당직 사퇴 사죄문’을 보좌관이 작성했다고 답변했다.
방송에서 김 의원은 “제가 어찌 됐든 국민들 입장에서는 너무 큰 잘못을 저질러서 무조건 사죄하고 모든 당직도 내려놓는다고 했다”며 “하지만 (사죄문은) 사실 보좌관이 썼는데 제가 당직에 대한 이야기는 솔직히 하지 않았다”고 업급했다.
이어 “(미국에 있는 동안) 무조건 잘못했다고 하고 빨리 알아서 써서 올려라 했더니 보좌관들이 회의해서 당직도 다 사퇴하겠다고 하는 게 맞는다고 판단했고, 귀국해서 보니 (사죄문에) 그 내용이 있어서 그냥 잘했다 했다”고 말했다.
자신 명의로 발표된 사죄문에 포함된 ‘당직 사퇴’가 보좌관이 쓴 내용이라며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발언을 한 김 의원에 지역 정가에서는 또 다시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내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김문수 의원실은 “직능위원회 부의장, 검찰독재대책위원회 제보센터장 등 중앙당직은 모두 사퇴한 상태다. 을지로위원회의 경우 연구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어 유지하고 있는 부분이다”고 해명하며 “다만 지역구 의원이 지역위원장에서 사퇴하는 것은 책임 정치와는 거리가 먼 부분이다. 사퇴 시 혼란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에 사퇴보다는 오직 지역민들만 바라보며 일하겠다는 마음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 개인 일정으로 미국으로 출국하면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소추안 표결에 야권 192명 의원 중 유일하게 불참했다.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김 의원을 당 윤리심판원에 회부해 조사하라고 지시했으며 김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과문을 올리고 당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순천=배서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