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삼의 마을이야기>동학군, 대나무 장태로 장성 황룡강전투서 대승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돈삼의 마을이야기
이돈삼의 마을이야기>동학군, 대나무 장태로 장성 황룡강전투서 대승
●장성 수산마을
대나무 쪼개 볏짚 넣은 방패
대포와 총 무장한 관군과 싸워
전주성 점령의 디딤돌 돼
마을 입구 느티나무와 정자
주민들의 그늘 쉼터로 좋아
비어있는 집 많은 농촌 모습
  • 입력 : 2024. 05.02(목) 18:31
느티나무와 정자. 가지를 넓게 펼친 나무가 연둣빛을 가득 머금고 있다.
동학혁명 승전기념탑. 하늘을 향해 우뚝 선 죽창에서 동학혁명군의 기개가 묻어난다.
수산마을 풍경. 한쪽엔 새집이, 다른 한쪽엔 허름한 집이 모여 대조를 이룬다.
황룡전투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 청동 부조물. 동학혁명 승전기념탑 앞면에 조각돼 있다.
첫째, 사람이나 생물을 함부로 죽이지 말라(不殺人 不殺物). 둘째, 충과 효를 함께하여 세상을 건지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忠孝雙全 濟世安民). 셋째, 왜와 서양 오랑캐를 물리쳐 우리 도를 밝힌다(逐滅倭夷 澄淸聖道). 넷째, 군대를 몰고 서울로 진격하여 권신과 귀족을 모두 없앤다(驅兵入京 盡滅權貴).

동학이 내세운 4대 강령이다. 봉건과 외세 반대를 내세우며 떨쳐 일어난 동학혁명이 올해 130주년을 맞았다. 지난해엔 동학혁명 관련 주요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백성이 주인 되어 외친 자유와 평등, 인권이 세계에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동학혁명은 1894년 2월 시작됐다. 조직화된 백성이 반봉건 민주, 반외세 자주독립을 쟁취하려는 운동이었다. 백성이 역사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첫 사례다. 동학군 주력부대는 그해 4월 영광·함평을 거쳐 장성으로 들어왔다. 동학군은 서울에서 내려온 관군과 황룡강변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동학군은 대포와 서양식 총으로 무장한 관군에 맞서 싸웠다. 관군으로부터 대포 2문, 양총 100여 정을 빼앗고 지휘관 이학승도 죽였다. 동학군의 큰 승리였다. 왕이 보낸 군대를 동학군이 무찌른 것이다. 동학군의 사기가 높아진 것은 당연했다.

싸움에선 새롭게 등장한 무기 ‘장태’가 위력을 떨쳤다. 장태는 대나무를 쪼개 둥근 모양의 닭집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그 안에 볏짚을 넣어 굴리며 방패로 활용했다. 방탄 무기를 확보한 동학군은 관군과의 싸움에서 무서울 게 없었다. 관군의 기관총과 소총 탄환은 장태 앞에서 맥을 추지 못했다.

장태는 높이 1.5m, 폭 4.5m 가량 됐다. 장태 뒤엔 동학군 10여 명이 몸을 의지하며 관군의 공격을 피했다. 일상에서 쓰인 닭집을 방탄용 무기로 바꾼 발상이 놀랍다.

장성에서 동학군의 승리는 전주성 점령의 디딤돌이 됐다. 동학군은 곧장 조선왕조의 태 자리인 전주를 점령하고 서울로 올라갈 기세였다. 전세가 관군에 불리함을 알아차린 전라감사가 전봉준과의 회담에 나섰다. 전라도 전역에 집강소 설치를 합의했다. 집강소(執綱所)는 동학군이 호남 각 고을에 설치한 농민 자치기구를 일컫는다. 요즘말로 민·관협력(거버넌스) 기구인 셈이다. 이는 19세기 당시 세계에서 비슷한 사례를 찾기 힘든, 신선한 민주주의 실험이었다.

그것도 잠시, 동학혁명은 일본군에 의해 좌절되고 만다. 동학혁명은 부패한 지도층과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며,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민중 봉기였다. 한국이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발판을 놓으면서 한국근대화의 시작을 알렸다. 외국의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근대주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우리나라 근현대 민주화 운동과 민족운동의 원동력이 돼 우리의 역사 발전도 이끌었다.

동학군이 관군에 맞서 대승을 거둔 장성군 황룡면에 동학혁명 승전기념탑과 공원이 조성됐다. 1997년이다. 이듬해엔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됐다.

“당시 관군을 이끈 이학승의 순의비(殉義碑)가 있던 자리입니다.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1897년 세워진 순의비가 동학군과 관군이 맞서 싸운 황룡전투의 현장을 증거한 거죠. 그 자리에 승전기념탑을 세우고, 공원을 만든 겁니다.” 김희태 전 전남도 문화재전문위원의 말이다.

승전기념탑은 동학군의 주 무기였던 죽창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하늘을 향해 우뚝 선 죽창에서 동학혁명군의 기개가 묻어난다. 탑은 높이 30m, 지름 2.5m 가량 된다. 장태를 굴리는 동학군 모습도 조각됐다. 황룡전투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 청동 부조물도 탑 앞면에 있다. 양쪽에는 동학혁명의 4대 강령과 곽재구 시 ‘조선의 눈동자’가 새겨져 있다.

‘조선의 눈동자들은/ 황룡들에서 빛난다// 그날, 우리들은/ 짚신발과 죽창으로/ 오백년 왕조의 부패와 치욕/ 맞닥뜨려 싸웠다// 청죽으로 엮은/ 장태를 굴리며/ 허울뿐인 왕조의 야포와 기관총을/ 한 판 신명나게 두들겨 부쉈다// 우리들이 꿈꾸는 세상은/ 오직 하나// 복사꽃처럼/ 호박꽃처럼/ 착하고 순결한/ 우리 조선 사람들의/ 사람다운 삶과 구들장 뜨거운 自由(자유)….’

승전기념탑이 세워지기 전, 이 땅의 주인은 1.6m 크기의 이학승 순의비였다. 장성 유림이 세우고, 면암 최익현이 글씨를 썼다. 의기양양했던 순의비는 동학혁명이 재조명되면서 땅에 처박혔다. 동학혁명 승전기념탑이 세워지고, 순의비도 한쪽에 다시 세워졌다.

순의비는 공원 옆 감나무밭 귀퉁이에 초라하게 서 있다. 기세등등한 승전기념탑이 순의비를 압도하는 모양새다. 해마다 5월 27일, 여기에서 동학혁명 승전 기념식도 열린다.

동학혁명 기념공원이 전남도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에 자리하고 있다. 황룡면 소재지에서 서쪽, 황룡강 건너편이다. 장산리는 승전기념탑이 선 수산(水山)과 하사(下沙), 외장산(外長山), 내장산(內長山) 등 4개 마을로 이뤄져 있다. 수산은 ‘물뫼’로도 불린다. 마을 뒷산이 수산이고, 수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입구에 선 느티나무와 정자가 멋스럽다. 수령 300년 된 나무가 연둣빛을 가득 머금고 있다. 나무가 드리운 그늘도 넓다. 마을 주민들 쉼터로 맞춤이다. 주변 구릉은 감나무, 사과나무, 블루베리가 차지하고 있다. 들에선 보리가 영글어 가고 있다. 농로를 오가는 트랙터 소리가 한낮의 평온을 깨뜨린다.

마을엔 새로 지은 집이 한데 모여 있다. 골목엔 사람이 살지 않고 비어있는 집이 많다. 지금 우리 농촌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돈삼 <여행전문 시민기자·전라남도 대변인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