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교육감 시대, 자사고ㆍ자공고 어떻게 되나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
진보교육감 시대, 자사고ㆍ자공고 어떻게 되나
광주ㆍ전남 지역 오늘부터 23일까지 현장평가
장휘국ㆍ장만채 교육감 부정적 입장 결과 촉각
  • 입력 : 2014. 06.17(화) 00:00
6ㆍ4지방선거에서 진보교육감이 대거 당선된 가운데 광주ㆍ전남지역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와 자율형공립고(자공고)에 대한 현장 평가작업이 진행되면서 결과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광주시교육청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자사고인 광주의 송원고와 전남의 광양제철고에 대한 현장 평가가 17일부터 오는 23일까지 진행된다.

송원고와 광양제철고에 대한 현장 평가는 초ㆍ중등교육법령에 있는'5년마다 자사고 운영과정을 평가해야 한다'는 조항에 따른 것으로 광주교육청과 전남교육청, 경기교육청, 충남교육청, 전북교육청 등 5개 교육청과 한국교육개발원 등 6개 기관 관계자로 이뤄진 6명의 평가위원이 실시한다.

평가지표는 교육부가 제시한 학생 충원율과 학생만족도, 교비회계운영 적정성, 법정 법인전입금 규모 등 27개로 시ㆍ도별 내용은 지역 현실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이달 말까지 현장 평가를 바탕으로 평가결과보고서를 각 시ㆍ도교육청에 통보하면 교육청 내에 있는 자율학교 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진행한다. 시ㆍ도교육청의 자사고 커트라인은 100점 만점에 60점으로 최종 판단은 교육감이 한다.

광주지역 자공고인 상일여고에 대한 평가는 16일 진행됐다. 자공고 평가위원회는 타 교육청 없이 광주교육청이 외부위원과 교육청 직원 등 6명으로 자체 구성했다. 자공고의 커트라인은 70점이다.

진보교육감으로 분류되는 장휘국 광주교육감과 장만채 전남교육감은 이번 6ㆍ4지방선거 당시 진보교육감 후보 합동 공약을 통해 공교육 정상화를 앞세워 자사고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바 있어 자사고 폐지 여부에 교육계에 관심이 쏠려 있다. 자공고의 경우 현정부 들어 이명박 정부 당시 줬던 특혜(예산, 학생선발권, 교육과정 편성 자율권)를 상당 부분 없애기로 하면서 진보교육감들의 관심에서 다소 멀어져 있다.

일단 교육계 안팎에서는 진보성향 교육감들이 곧바로 자사고 폐지 카드를 꺼내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후보 시절 자사고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던 교육감 당선자들 중 일부가 즉각 폐지에 대해서는 유보적 입장이고, 학부모와 학생에 대한 선택권 문제도 있는 만큼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지 않는다면 무리하게 폐지를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교육부의 정책 방향이 자사고 폐지에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진보성향 교육감들이 서두르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장휘국 시교육감은 이날 브리핑실에서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자사고에 대한 평가가 현재 진행 중으로 평가결과를 보고 결정할 것"이라며 "평가결과가 나쁘다면 모르겠지만 높은 점수가 나온다면 받아들여야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자사고는 광주지역에서는 송원고와 숭덕고, 전남에는 광양제철고가 있다. 자공고는 광주의 경우 상일여고, 광주고, 광주일고, 전남은 목포고, 순천고, 여수고, 해남고, 남악고, 나주고, 광양고 등이 있다.

장우석 기자
사회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