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그림자가 가까워 올 때 아무런 도움의 손길을 받을 수 없는 적막감과 고통, 노인 고독사가 잇따르고 있다.
●고령화 1인 가구 시대
고독사에 대한 행정기관의 정확한 통계는 없다. 'KBS'가 지난해 광주ㆍ전남 경찰의 변사사건 자료와 광주시ㆍ전남도의 무연고 사망자를 분석한 결과 광주는 65건, 전남은 46건이었다. 연령은 50대 이상이 다수(70%)였다.
전국적으로는 KBS '파노라마 팀'이 2013년의 명백한 고독사를 조사했더니 모두 1717건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독사로 의심되는 것까지 모두 합하면 1만1002건에 달했다.
앞으로도 문제다. 홀로 사는 노인이 계속 늘고 있다. 2013년 12월 기준 광주지역 65세 이상 15만1874 명 중 3만6940명이 독거노인이다. 2010년 광주의 65세 이상 1인 가구는 2만7175명이었다. 3년새 35%가 증가했다. 전남(2013년 12월 기준)은 65세 이상 인구 37만4565명 중 11만5574명이 독거노인이다. 지난 2010년 10만256명보다 3년새 15% 가 늘었다.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 비율은 453만9000가구로 전체의 25.3%에 이른다. 특히 고독사가 주로 발생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2000년대 3.7%에서 2012년 6.6%까지 올랐고 전체 노인 중에서 독거노인(119만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를 웃돈다.
●지자체 노력 다각화를
고독사를 막기 위한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의 노력은 다양하다. △방문주간보호서비스 △단기가사지원서비스 △독거노인돌봄기본서비스 △독거노인응급안전기본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친구만들기 △경로식당 무료급식 △거동불편 재가노인 식사배달 등이다.
전남도는 도내 79개소에 '노인 공동생활시설'을 설치ㆍ운영해 오고 있다. 이곳에서 외로운 독거노인들이 서로 모여 밥을 해먹고 이야기를 나누는 등 의지하는 공간으로 재탄생, 지역 어른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문제는 늘어나는 독거노인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지자체의 예산과 지원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예산 및 지원은 부족하고 갈수록 대상인 독거노인은 늘어가 '수박 겉핥기' 식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다. 주민등록이 아닌 실제 독거노인 발굴을 위해서도 개인정보라 파악이 힘든 경우도 있다. 생활관리사 1명이 30명의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중앙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
●이웃사촌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들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동신대 사회복지학과 양철호 교수는 "고독사 문제의 비책은 결국 지역민에게 달려있다. 지자체나 정부의 제도 개선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진국 포함 모든 나라가 안고 가야 하는 문제다. 동네 주민과의 교류가 튼실한 시골일수록 고독사가 없고 대도시일수록 고독사 현상은 많이 나타난다"면서 "이는 '이웃사촌'이라 불리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튼튼히 하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 "지난 2012년 서울시가 혼자 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했고 그에 맞춰 각종 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있다"면서 "광주시도 갈수록 늘어가는 노인들에 대한 복지체계에 있어 좀 더 세심한 '광주적 복지'를 정립해야 할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한 사회복지사는 "'고독사'는 사회ㆍ가정에서 버림받은 사람들의 마지막 순간이다"면서 "지자체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들의 마지막 순간이 외롭지 않도록 많은 이웃사촌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조시영 기자 sych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