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는 혁신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일까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적 경제는 혁신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일까
  • 입력 : 2022. 01.20(목) 13:33
  • 이용환 기자

사회적경제와 혁신성장. 전남대 출판문화원 제공

사회적경제와 혁신성장

김일태·임영언 | 전남대 출판문화원 | 1만5000원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혁신이 주목받게 된 것은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전후다. 세계적으로는 심각한 빈부격차와 양극화에서부터 실업, 인구감소, 고령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런 문제들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풀기 위한 시도로 변화·발전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일정 국가의 구성원이 스스로 사회문제에 대해 사회혁신과 사회적 참여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경제활동을 일컫는다.

오늘날 사회혁신에 관한 연구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수행되고 있다. 사회성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들은 사회적 기업가, 사회적 기업가 정신, 사회적기업 등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소셜비즈니스, 커뮤니티비즈니스를 키워드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이라는 관점에서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나 기업의 사회 공헌(Corporate Philanthropy) 등을 연구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전남대 경제학부 김일태 교수와 전남대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임병언 연구교수가 최근 펴낸 '사회적 경제와 혁신성장'은 사회적 경제가 혁신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고, 사회적 과제로 떠오른 빈곤, 실업, 건강, 양육, 환경파괴 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책은 모두 9장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제4장 한·일 사회적경제와 해외 혁신성장사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경제 제도화과정을 비교하고 사회적농업과 산림치유 등 지역혁신과 기업혁신의 성장사례를 다루고 있다.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화두인 지금 우리사회에 필요한 것은 사회적경제의 개념을 넓히고, 농촌이나 산촌, 산림 등 주변 자원들을 활용하는 것"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제7장 일본의 재일외국인 노동자와 이민제도의 개혁에서는 일본의 이민정책과 외국인 노동자 수용 신제도, 다문화 공생 사회 대응 등을 살펴보는 등 우리나라와 일본의 사회적경제를 비교하고 우리가 가야할 미래를 제시하고 있다.

도시재생이 사회적경제와 어떻게 연결돼야 하는지, 농업 분야에서의 지역혁신은 어떤 방법으로 추진해야 하는지, 선거 및 주권 교육 등의 문제와 사회적 경제를 어떻게 풀어낼 것인지 고민한 흔적들도 엿보인다.

미국 조지아대를 졸업한 김일태 교수는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농업유산 자문위원회(농림축산식품부) 위원, 광주시 일자리위원회 위원,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일본 조치대를 졸업한 임병언 박사는 전남대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교수로 광주 동명동 도시재생사업 운영위원으로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용환 기자 yh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