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력난, '탈석탄의 정반합'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서석대
중국 전력난, '탈석탄의 정반합'
  • 입력 : 2021. 09.30(목) 16:57
  • 이기수 기자
이기수 수석 논설위원
 최근 중국의 전력난이 심각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거리 신호등이 꺼지고 중국 소재 세계 각국 기업 공장도 멈춰서는 일이 벌어져 세계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외교적 갈등으로 호주산 석탄 수입이 중단된 뒤 화력 발전을 위한 석탄 가격이 급등한데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라는 시진핑 주석의 지시에 따라 일부 지방 정부가 산업 시설에 전력 공급을 제한한데 따른 여파로 분석되고 있다. 이같은 사태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세계 경제가 석탄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점, 인류 최대 위협요인으로 꼽히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탈석탄이 당면 과제라는점, 그리고 기존 세계 경제 체제 변화 필요성 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어서다.'세계의 공장'인 중국은 전체 전력 생산의 60%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은 석탄 수요의 절반 가량을 호주에서 수입해왔는데 지난해말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 화웨이 통신 장비 퇴출 결정과 코로나19 책임론 등 중국 정부의 심기를 건드린 호주에 대한 보복 조치였다.이처럼 석탄 수급이 제대로 안되니 바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를 맞았다. 경제전문가들은 중국의 전력난은 중국 경제와 세계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일부 글로벌 기업과 국내기업들도 이미 타격을 받고 있다. 애플과 테슬라에 부품을 공급하는 대만 기업들이 중국 장쑤성 내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장쑤성에 있는 포스코의 스테인리스 회사인 장가항포항불수강도 이달 중순부터 일부 생산공정 가동을 중단했고,중국 선양에 있는 오리온 생산 공장도 조업을 중단했다고 한다. 현재 중국 전력난은 '206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겠다'는 시진핑 국가 주석의 선언에 따라 화석 연료 발전을 규제한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시 주석의 넷 제로 선언은 인류를 위협하는 탄소 배출을 감축하지 않고는 세계 경제를 이끌지 못할 것이라는현실적인 판단의 결과다. 유럽연합(EU)이 2005년 세계 최초로 탄소배출을 제한하는 배출권거래제도에 이어 산업 분야의 전 세계적인 탄소감축을 위해 지난 7월 탄소국경세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2023년부터 3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6년 본격 시행 예정인 탄소국경세는 역내 제품보다 탄소 배출이 많을 경우 탄소 배출 비용을 부과한다는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탄소국경세 도입을 공약했다. 탄소국경세 도입은 세계 무역질서의 재편을 예고하고 있다.특히 수출의존도가 놓은 한국 경제에 위협 요인임에 틀림없다. 탈석탄을 근간으로 한 탄소 배출 감축은 시급한 국정과제임에도 내년 대선 주자들의 입장은 너무 태평한 것 같아 안타깝다. 한국은 전체 전력의 40% 이상을 석탄 발전에 의존에 하고 있음에도 이들 대선후보는 탈석탄에는 공감하나 실현 시점을 특정하지 않고 있다. 탈석탄과 탈원전 같은 에너지전환은 당면한 시대적 과제이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치적으로 결정돼야 사안인만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해야만 국가지도자로서 자격이 있다. 이기수 수석논설위원



이기수 기자 kisoo.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