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칼럼·김종일>광주천의 미래 비전과 정비 방향을 올바로 세워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테마칼럼
환경칼럼·김종일>광주천의 미래 비전과 정비 방향을 올바로 세워야
김종일-광주전남연구원 초빙연구위원
  • 입력 : 2020. 07.12(일) 14:27
  • 편집에디터
김종일 광주전남연구원 초빙연구위원
주요 도시의 간선도로망은 대체로 동-서와 남-북을 잇는 방향이 많다. 그런데 광주 구도심의 가로망은 북서에서 남동 방향과 북동에서 남서를 잇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금남로, 충장로, 제봉로 등이 북서-남동 방향이고, 중앙로, 서석로, 독립로 등이 북동-남서 방향이다. 광주 구도심을 가로질러 흐르는 광주천의 영향 때문이다. 광주천이 구도심 구간에 이르러 남동쪽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주요 간선도로망이 광주천의 흐름 방향과 평행 또는 직교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처럼 광주천은 부지불식간에 시가지의 형성 및 발달뿐만 아니라 시민의 생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는 광주천은 자연하천의 모습이 아니다. 급격한 도시화의 그늘에서 광주천은 직선화되고 유로 폭이 좁아졌으며, 지류하천과 실개천은 복개되어 콘크리트에 갇힌 하수구로 전락했다. 실개천의 물은 곧장 하수관으로 들어가고, 빗물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때문에 지하로 스며들지 못해 비가 올 때는 하천 유량이 급증하고 비가 그치면 곧바로 유량이 줄어든다. 영산강에 합류하는 지점에서 수질이 크게 악화되어 영산강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꼽혔고, 하류부에서 물고기 떼죽음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광주천 제방 양쪽에는 천변도로가 건설되어 시민들이 하천으로 자유로이 접근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광주천이 안고 있는 당면 과제들이다. 마침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광주천 환경정비사업이 민선 7기의 핵심정책에 포함되어 추진되고 있다. '광주천 아리랑 문화물길'이란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에는 유량 확보, 수질 개선, 생태 복원, 친수공간 확보 등이 모두 포함되어 일견 기대가 크다. 그러나 광주천에서는 과거에도 건천화 방지사업, 자연환경 정비사업, 자연형하천 정화사업, 수질직접정화사업 등이 여러 차례 추진된 바 있다. 열악한 시 재정 때문에 광주천의 문제를 본질적이고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당장 시급한 현안 중심으로 접근한 탓으로 이해한다.

이번 사업은 올 7월에 착공해 2022년까지 완료할 계획인데, 민선 7기의 공약과제여서 임기 내에 사업을 끝내려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사업 방향이 잘못 설정되면 적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단기성 사업에만 치중하면 향후 또 다시 유사한 사업이 반복될 수 밖에 없다. 전문가와 시민단체들이 우려하고 있는 점이다. 또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치더라도 광주천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는다. 광주천으로 들어오는 물길이 흘러야하고, 지하수가 풍부해야 광주천에 풍부한 물이 흐를 수 있다. 유역의 물순환 체계가 회복되어야 본질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광주천과 주변 지역을 연계해 도시를 재생하는 일, 지류하천과 실개천을 살려내는 일, 물순환 체계를 회복하는 일들도 병행해서 추진해야 한다.

이번 사업과 별도로 광주시의 생태, 녹지, 기후, 방재, 수자원, 여가, 문화 등의 측면에서 광주천의 위상과 시민의 요구 등을 면밀히 파악해 광주천의 미래 비전을 정립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단기, 중기, 장기 과제를 발굴해 각각의 세부 추진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단기 사업은 행정의 힘만으로도 가능하지만, 중기와 장기 사업은 시민의 동의와 참여가 없이는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난제로 꼽히는 유역, 지류, 실개천을 살리는 일들은 유관기관 및 단체, 시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성해 해법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시민참여의 성공 모델을 통해서 광주천이 전국 최고의 생태와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