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김건희 소환…대선 전 사실상 무산
“건강·시기 고려해 조율”
2025년 05월 25일(일) 13:44 |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나서며 지지자들에 인사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오른쪽은 김건희 여사. 공동취재=뉴시스 |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을 받는 김 여사에게 당초 계획했던 추가 소환 통보를 하지 않고 있다. 대신 건강 상태와 선거 영향을 감안해 대선 이후 조사 일정 조율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팀은 김 여사 측에 지난 2월부터 수차례 구두로 소환 필요성을 전달했고, 지난 14일에는 서면 출석요구서를 공식 발송했다. 하지만 김 여사 측은 건강 악화를 사유로 한 진단서와 함께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사유서에는 공천 개입 의혹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게 정치적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내용과 함께 선거 기간 중 조사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검찰도 선거 개입 논란을 피하기 위해 조사를 대선 이후로 미루는 쪽으로 기울고 있는 모양새다.
김 여사와 관련된 수사 대상은 중앙지검 외에도 서울고검(도이치모터스 재기수사)과 서울남부지검(건진법사 전씨 관련 의혹) 등으로 확산돼 있으나, 이들 기관에서도 대선 전 소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앙지검 수사를 총괄해온 이창수 지검장이 최근 건강 문제로 사의를 표명한 점도 변수다. 법조계는 “지검장 교체 직전 무리하게 처분을 내리는 것보다 후임 체제에서 처리하는 편이 부담이 덜하다”는 분위기를 전했다.
한편 서울고검은 지난 21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해 공범으로 지목된 이모 씨를 처음으로 불러 조사하며 재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고, 서울남부지검은 김 여사가 전씨로부터 샤넬백을 수수한 의혹과 관련한 물증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검찰 내부에서는 향후 김 여사 소환을 포함한 주요 절차는 대선 이후 새 중앙지검장 취임 이후로 넘기는 방향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노병하 기자·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