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환경운동연합, 금호타이어 화재 민관합동대책위 구성 촉구
“화학사고 관점서 대응해야”
2025년 05월 23일(금) 12:12
광주환경운동연합이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와 관련해 “단순 화재가 아닌 화학물질 사고로 접근해야 한다”며 민·관 합동대책위원회 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23일 성명을 내고 “금호타이어 화재는 생고무, 카본블랙, 가황제, 산화아연 등 유해 화학물질이 포함된 대형 화학물질 화재”라며 “대기와 수질, 토양 오염은 물론 시민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재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광주시는 지난 21일 대기오염 수치가 기준치 이하였다고 발표했지만, 22일 기준 5377건에 달하는 시민 피해 신고와는 큰 괴리가 있다”며 “영산강유역환경청이 발표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측정값 역시 작업장 기준(TWA)에 근거한 것으로, 일반 시민의 노출과 비교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단체는 “금호타이어가 화재 당시 소실된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영산강유역환경청은 대기뿐 아니라 토양·수질·잔류물질에 대한 종합적 조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시민들의 두통, 어지럼증, 호흡기 질환 등 건강 피해가 보고되고 있음에도 광주시의 대응은 미온적”이라며 “지체 없이 역학조사에 착수하고, 치료 지원 및 심리상담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단체는 화재 현장 수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에도 주의를 당부했다.

이들은“분진과 화학물질의 비산은 장기적인 환경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광주고용노동청은 화재 현장 철거 과정에 참여한 노동자의 유해물질 노출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폐기물 이송·처리는 영산강유역환경청이 철저히 감독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또 “화재로 생계 위협을 받는 노동자에 대한 고용 유지와 인근 상권의 경제 피해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며 “이번 사태를 단순 사건이 아닌 구조적 재난으로 인식하고, 광주시와 광산구청, 시의회, 관련 행정기관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대책위원회를 즉각 구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번 화재가 유해화학물질 관리체계의 허점을 드러낸 만큼, 실질적 제도 개선과 감시 체계 강화를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관계기관의 책임 있는 행동을 강력히 요구했다.
최동환 기자 cdston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