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화재, 시민 피해조사 및 대책 마련해야"
광주·전남시민사회단체 성명 발표
"투명한 실태 공개, 구조적 개선을"
2025년 05월 19일(월) 17:25
지난 18일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에 화재가 발생해 소방 당국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정준 기자
광주·전남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인한 시민들의 건강, 환경피해를 철저히 조사하고 향후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은 19일 성명을 내고 “광주시와 유관기관은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함께 종합적인 대책 수립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단체는 “지난 17일 화재로 인한 유해 화학물질의 대기 중 방출이 가장 우려된다”며 “공장 화재로 방출되는 유해 화학물질 등이 연소하면서 대기 중으로 얼마나 퍼졌는지, 실측자료는 확보됐는지 등 객관적인 분석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광산구는 과거 하남산단 TCE 유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 대응 매뉴얼을 마련한 바 있다. 매뉴얼의 적용 여부 등에 대한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며 “기존 매뉴얼이 대기 중 유해물질 확산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라면, 이번 사고를 계기로 범위를 재정비하는 등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도시개발 방식에 대한 구조적인 재점검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향후 도시개발에 있어서 환경영향평가, 완충지 조성 등의 기준이 엄격하게 적용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이번 화재는 단지 기업의 재난이 아니라 지역사회 안전 시스템 전반에 대한 경고”라며 “정부와 광주시는 사고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원인 규명부터 구조적 개선, 환경 모니터링 및 주민건강 보호 등 제도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승우 기자 seungwoo.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