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교육단체 “일부 학교, 전자칠판 통합 구매 외면”
51개교 개별 구매 선택
“통합 구매 예산 절감 높아”
“통합 구매 예산 절감 높아”
2025년 04월 29일(화) 18:48 |
![]() |
29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총 97억원 규모로 2024~2025년 전자칠판 보급사업을 시행했다.
시교육청은 당초 예산을 절감하고 행정력을 줄이기 위해 통합구매를 원칙으로 정했다.
하지만 전체 132개 대상 학교 중 51개교가 통합 구매 방침을 거부하고 개별 구매를 선택했다. 이 중 48개교가 사립학교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모임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해당 사업 예산의 효율성, 제품의 품질, 계약의 공정성 등을 분석한 결과, 통합구매 방식이 개별구매에 비해 예산 절감이 효과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전자칠판 보급사업 집행 결과, 통합 구매를 선택한 81개 학교에 582대 설치됐고 평균 단가는 607만 8000원, 예산절감률은 12.80%로 나타났다.
개별 구매를 선택한 51개 학교에 395대 설치됐고 평균단가는 613만 1000원, 예산절감률은 9.81%였다.
단체는 “통합 구매는 고사양 규격을 동일 적용해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한 반면 개별 구매는 QLED 패널 채택은 13%, OPS 장착은 63%에 불과했다”며 “더 많은 돈을 주고 더 낮은 품질의 제품이 설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별 구매 학교들에게 사업 집행 결과를 보고받고도 각 학교가 어느 업체와 계약했는지 파악하지 않았다”며 “이미 타 시도에서 전자칠판 보급사업 관련 부조리가 확인된 조건에서 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대비하지 않는 광주시교육청의 태도를 납득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타 시도의 사례로 인천교육청은 시의원 2명과 전자칠판 업체의 유착혐의로 재판이 진행 중이며 강원도교육청은 특정 업체 일감 몰아주기 등의 문제로 감사를 받은 바 있다.
단체는 “개별 구매 학교의 사업 현황을 조사해 공개하고 향후 전자칠판 보급사업 시 통합 구매 방침을 준수하라”며 “계약 부조리가 확인될 경우 감사, 수사 의뢰 등 엄정 조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승우 기자 seungwoo.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