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성찰과 미래 광주 비전을 모색하다"
5월영화인문주간 '무한텍스트로서 광주'
5·18기행산문 단편·14시간 넘는 다큐 등
2025년 04월 29일(화) 16:31
‘무한텍스트로서 광주’ 포스터. (사)광주영화영상인연대 제공
광주에서 1995년은 5·18특별법 제정(12.19)과 광주비엔날레 개막(9.20)이라는 굵직한 발자국이 시작된 한 해였다. 이로부터 30주년을 맞이한 올해 ‘포스트 5·18체제’의 미래 광주 비전을 영화적 시선으로 모색하는 자리가 열린다.

(사)광주영화영상인연대와 전남대호남학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5월영화인문주간 ‘무한텍스트로서 광주’가 다음달 10일부터 17일까지 열린다. 이번 행사는 주제영화상영과 영화인문포럼으로 구성돼 ‘포스트 5·18체제’를 성찰하고 인공지능(AI)과 인문도시를 표방하는 미래 광주의 비전을 조망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영화상영은 다음달 10~11일, 15일, 17일에 열린다. 기형도의 산문에 영감을 받은 ‘짧은 여행의 기록-광주’, 망월동 버스를 배경으로 한 ‘망월동행 25-2’, 윤한봉의 망명기를 다룬 ‘진달래꽃을 좋아합니다’ 등 광주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작품들이 상영된다.

또한 카셀 도큐멘타의 이면을 담은 초장편 다큐멘터리 ‘도큐멘타 14에 관한 뒷얘기’도 특별 상영될 예정이다. 이 작품은 5년마다 개최되는 카셀도큐멘타에 관한 이야기를 14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에 담아냈다. 화려한 현대예술축제의 이면을 파헤친 작품으로 광주독립영화관에서 1박 2일간 상영되며 극장에서 만나기 힘든 경험을 시네필들에게 선사한다.

다음달 16일 열리는 영화인문포럼에서는 이태호 명지대 석좌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총 10명의 영화인·인문학자들이 참여해 광주의 역사성과 미래 비전을 논의한다. 종합토론은 김형중 조선대 교수가 맡는다.

이상훈 (사)광주영화영상인연대 이사장은 “광주는 우리뿐 아니라 미래 세대들이 살아가야 하는 도시이기에 접근성이 쉬운 영화와 인문학 포럼을 매개로 미래 광주의 비전을 공론화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정명중 전남대호남학연구원 원장은 “이번 5월영화인문주간은 그간 광주와 지역연구 성과가 현실적인 정책과 연결되고 현장과 소통할 수 있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광주독립영화관 홈페이지 또는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주제영화상영은 예매가 오픈돼 있고 예매는 디트릭스(www.dtryx.com)에서 가능하다.
박찬 기자 chan.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