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 제12기 독자위원회> “탄핵 정국에 묻힌 지역 이슈·어려움 발굴해야”
20년 연속 지역신문발전기금 선정
한강, 5·18 등 탄핵에 묻힐까 우려
온라인 뉴스 시대, 사후 관리 필요
‘광주폴리’ 관심 제고 기사 의미 커
공공미술, 효율성 따질 유일한 예술
민생지원금 기획보도 판단에 도움
한강, 5·18 등 탄핵에 묻힐까 우려
온라인 뉴스 시대, 사후 관리 필요
‘광주폴리’ 관심 제고 기사 의미 커
공공미술, 효율성 따질 유일한 예술
민생지원금 기획보도 판단에 도움
2025년 03월 20일(목) 18:17 |
![]() 전남일보 제12기 독자위원회가 20일 전남일보 회의실에서 열렸다. 독자위원들이 주요 이슈에 대한 지면평가 및 대안 등을 이야기 하고 있다. 김양배 기자 |
전남일보는 20일 제12기 독자위원회를 열고 지난 두 달간 본보에 보도된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지역 정론지로서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미경 위원장, 장춘식 위원, 김준기 위원, 박시현 위원, 정일성 위원 등 5명이 참여해 의견을 제시했다.
회의에 앞서 박성원 전남일보 편집국장은 “전남일보가 20년 연속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대상자’에 선정됐다는 소식을 알려드리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 지난 21년간의 지역신문발전기금 역사에서 20년 이상 연속으로 선정된 일간지는 전국적으로도 전남일보·부산일보·강원도민일보·경남도민일보 등 4곳에 불과하며 광주·전남·전북 등 호남지역 신문사 중 20년 연속 선정된 일간 신문사는 전남일보가 유일하다”고 자부했다.
이어 “지역발전을 선도하기 위한 전남일보의 각종 기획취재와 사회공헌 활동, 편집 자율권 보장 등의 노력을 인정받은 것이어서 의미다 크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독자위원분들의 많은 관심과 조언, 비판을 바탕으로 보도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준수하며 책임 있는 언론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다음은 독자위원들의 의견.
![]() 이미경 독자위원장. |
온라인 뉴스 시대에 언론의 사후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느낀다. 최근 한 교육기관이 학부모의 일방적인 모략으로 경찰 고발과 재판 등을 거치며 기사화됐다. 문제는 시간이 지나 무죄 판결 등 해당 기관의 잘못이 없다는 것이 입증됐음에도 문제 발생 당시 보도됐던 기사들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것이다. 언론도 온라인화에 맞춰 사후 취재 등 관리에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장춘식 독자위원. |
지난 2월6일 ‘15년 된 광주폴리 시민 관심 필요’ 기사를 보고 광주폴리라는 것이 무엇인지 처음 알게 됐다. 무려 160억원 이상을 들여 25개국 35개 팀의 작가들이 참여한 작품인데, 이걸 아는 사람이 광주에 몇 명이나 있을지 의문이다. 더 적은 예산으로도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든다. 언론에서 관심을 갖고 살피지 않았다면 누구도 모른채 지출만 계속됐을 것이라고 생각돼 의미 있는 기사였다고 여겨진다.
![]() 김준기 독자위원. |
지난 2월6일 광주폴리 기사의 경우 예술작품이라는 특성 때문에 강도 높은 비판이 어려웠을 거라 생각된다. 하지만 공공미술 작품은 우리가 효율성을 따질 수 있는 유일한 예술작품이다. 공공미술 작품은 공공의 장소, 공공의 재원, 공공의 의제를 담은 것으로 비효율적인 부분이 지적되거나 시민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한 영역이다. 이런 관점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기사였고, 광주시 역시 관리·감독에 더욱 고민을 기울여야 한다.
![]() 박시헌 독자위원. |
전남일보와 광주도시공사가 공동주관으로 연 ‘기록, 민주화의 길 37년’ 사진전이 지난달 열렸었는데, 의미 있는 사진전이 일회성 행사로 끝나버리는 듯한 아쉬움이 남는다. 그 의미를 더욱 되새겨야 할 청소년이나 젊은 친구들이 볼 수 있게끔 중·고등학교나, 대학 등에서 추가적으로 사진전을 개최하거나 관련 사진을 지면을 할애해 순차적으로 게재해주면 이 혼란한 정국에서 민주주의의 참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정일성 독자위원. |
곽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