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대>그린벨트 활용법
김성수 논설위원
2025년 02월 25일(화) 17:39 |
![]() 김성수 논설위원 |
하지만 그린벨트는 지정된 이래 1999년까지는 절대 풀릴 수 없는 ‘족쇄’였다. 1997년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1만㎡ 이상의 농장과 과수원을 소유한 농업인은 기존 소유 주택을 헐고 새 집을 지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후 정권이 바뀔때마다 그린벨트 완화정책이 조금씩 진행돼 왔다.
정부가 25일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15곳을 선정했다. 광주는 광산 미래차 국가산단, 전남은 장성 나노 제2일반산단과 담양 제2일반산단이 포함됐다. 미래차국가산단 예정부지는 광산구 오운동 일대 338만4000㎡(102만평) 중 95.6%인 323만4000㎡(98만평)이 그린벨트로 묶여 있다.
사실 광주와 전남은 전체 면적이 상당수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다고 한다. 이는 개발할 수 있는 토지가 많이 부족하다는 뜻일 것이다. 정부가 대대적인 그린벨트 해제로 광주·전남에 큰 변화가 예고된다. 하지만 속도다. 그린벨트 해제 소식은 해당 지역 일대의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밖에 없다. 그린벨트 해제 목적인 개발 계획에 기업들이 가장 크게 매력을 느끼는 건 해제부지의 ‘적정 가격’이다. 주변지역이 투기과열로 이어진다면 그린벨트 해제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부족한 산업부지 확보를 통해 기업 유치를 할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다.
개발제한구역을 활용하지 않고는 마땅한 대안이 없는 현실 속에서 광주·전남의 미래가 그린벨트 부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이나다. 해제 부지에 속도감 있는 산업화가 이뤄질 수 있는 ‘그린벨트 활용법’이 절실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