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모두의 관심 필요한 저탄소 농산물 인증
농가와 소비자 모두에 이익
2025년 02월 11일(화) 17:38 |
정부가 저탄소 농산물에 인증을 부여한 것은 오는 2030년까지 3000여 만 톤인 농·식품분야 탄소배출량을 8.3% 감축하기 위해서다. 농가의 자발적 감축을 유도하고 소비자에게 윤리적 소비의 선택권을 제공하겠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방법도 단순하다. 시설원예의 경우 다겹보온 커튼을 설치하면 보온력이 높아져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어 농가는 난방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과수와 밭작물 또한 퇴비나 액비를 직접 만들거나 초생재배를 통해 비용절감과 함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 정부가 선정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기술도 19개에 달한다.
세계기상기구는 지난해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5도 올라가면서 2024년을 기록상 가장 더운 해로 확정했다. 온실가스가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불러왔기 때문이다. 지구 온난화는 폭염과 가뭄, 집중호우 등 극단적인 기상 이변의 원인이다. 해수면 상승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은 생태계 보전과 미래 세대를 위한 인류 전체의 과제다. 저탄소 농산물 인증혜택도 크다. 정부는 환경부 그린카드와 연계해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구매액의 9%를 에코머니 포인트로 적립한다.
탄소배출량은 산업계가 가장 크지만 농업도 무시할 수 없다. 지역 농가는 물론이고 소비자도 환경과 지구, 우리 농업을 지킬 수 있도록 저탄소 농산물 인증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기후변화 극복은 먼 미래가 아니라 당장 모두의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탄소배출을 줄이려는 농가의 자발적 참여와 함께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를 위한 의지가 우리의 농업을 지속가능하게 만들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