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일자리 GGM 노조 파업…지역경제 우려
노조 "탄압 지속" 부분파업 돌입
주주단 "상생협정서 범위 벗어나"
채은지 "광주시 수수방관도 문제"
2025년 01월 14일(화) 18:17
지난 10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 앞에서 금속노조 광주글로벌모터스(GGM)지회가 ‘파업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국내 1호 노사 상생 일자리 모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동조합이 공장 가동 이후 처음으로 노조 간부에 이어 조합원 파업에 돌입하면서 지역경제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광주시와 GGM 노조 등에 따르면 노조 일부 조합원은 이날 오후 12시20분부터 4시20분까지 부분파업을 벌였다.

앞서 노조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파업의 책임은 사용자, 광주시, 주주단이 ‘상생’의 길을 포기하고 ‘노조탄압’을 지속하기 때문”이라며 “이들은 노사상생협정서 어디에도 ‘무노조·무파업’ 문구가 없는데도 이를 전제로 회사가 설립된 것처럼 협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 권오산 국장은 “사측은 쟁의 기간 GGM 입구 주차장 외벽에 선전 현수막을 설치했으나 철거하는 등 노동자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면서 “또 점심시간 선전물 교부도 상생협의체 팀장이 방해했다. 이것은 명백한 노조에 대한 탄압”이라고 노조측 입장을 대변했다.

사측은 노조의 부분파업을 대비하기 위해 일반직렬 직원 108명을 대체 인력으로 준비해 둔 상태로 이들은 사전 직무교육 및 건강검진을 마쳤다. 이날 투입된 대체 인력은 총 60여명으로 공장 중단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지난해 말 캐스퍼 전기차의 유럽 수출이 시작됐고 오는 2월 일본 수출을 위한 시험 생산이 있을 예정으로 파업이 지속될 경우 생산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GGM은 지난 2019년 9월 20일 출범한 자동차 생산 합작 법인으로 자본금 2300억원은 36개 투자자와 기관에서 참여해 모았다. 483억원을 출자한 광주시(21%)가 1대 주주고 2대 주주는 437억 원을 출자한 현대자동차(19%), 3대 주주는 광주은행(260억 원·11.3%)이다.

GGM은 출범 당시인 2019년 1월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를 통해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체결했다. 해당 협정서는 ‘누적생산 35만대 달성까지는 GGM 상생협의회에서 근로조건과 작업환경을 협의하고, 매년 임금인상의 경우 전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만큼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는 ‘무노조, 무파업’ 규정은 없지만 임금 상승이나 노동 환경에 대한 결정은 상생협의회에서 결정하는 것을 따르도록 돼 있다. 임금이 다른 자동차 기업에 비해 낮은 것도 그 이유다. 단 사측은 적은 노동시간과 주거 지원 등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상회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노조 측은 ‘노동 3권에 위배된다’는 입장이다. GGM의 정체성인 ‘노사상생발전협정서’보다 ‘헌법이 우선한다’는 것이다.

이에 GGM의 1대 주주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 김성진 원장은 최근 SNS 글을 통해 “노조의 요구 사항들은 노사상생발전협정서에 따라 경영진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것이다. 이를 받아들일 경우 주주들은 언제든지 투자를 철회할 수 있고 채권단의 자금 회수도 가능하다. 또 경영진도 배임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면서 “파업을 중단하고 생산 현장으로 복귀 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밝혔다.

광주시에 1차적 책임이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

채은지 광주시의회 부의장은 “노조가 파업을 하기까지에는 광주시가 방관한 부분이 있다”면서 “광주시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에 대한 강한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채 의원은 “GGM 파업과 관련해 지난해 부터 줄곧 부정적인 입장을 펼쳐 왔다”며 “노동조합의 탄생은 헌법적인 권리이기에 막을 수 없지만, 정식 파업 돌입은 다른 문제로 봐야 한다. GGM은 광주형 일자리라는 특수한 회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채 의원은 이어 “(임금인상안 등에 대한) 노조 측 명분이 다소 약하다. 노사갈등으로 인한 파업돌입이 심히 아쉬울 따름”이라며 “결국 해결 방법은 서로가 대화와 타협으로 조금씩 양보하는 것 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광주형 일자리가 꼭 성공하길 바란다. 양측의 타협점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등 시의원으로서 사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노병하·정성현·박소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