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감>전남 ‘살릴 수 있었는데 사망한 환자 수’ 전국 최다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 열악
치료가능 사망자 전국 5번째 많아
전남대병원 응급실 내원 사망도 ↑
“의대 설립 등 필수의료체계 시급”
2024년 10월 09일(수) 16:23
정부가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에게 현장으로 돌아오라고 통보한 마지노선인 지난 2월 29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병동에서 의료진이 중환자를 옮기고 있다. 뉴시스
의과대학과 상급종합병원이 전무한 전남지역이 생존할 수 있는데도 사망한 환자 수를 나타낸 지표가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제때 치료받지 못해 조기 사망한 환자도 전남이 17개 시도 중 다섯 번째로 높았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제출받은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기준 전남의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는 1.17로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는 급성기 입원 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기대 사망자 수와 실제 사망자 수를 비교한 수치다. 사망비가 1이면 전국 평균 수준이고 1을 넘기면 기대 사망자보다 많은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뜻이다.

전남에서는 초과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반면 광주는 1.03으로 그나마 전국 평균에 근접했다.

전남은 ‘치료 가능 사망률’ 지표에서도 열악한 의료 현실이 드러났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심·뇌혈관 질환, 감염 등에 대해 제때 제대로 치료한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기 사망의 비율을 나타낸 지표다.

전남은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치료 가능 사망자는 49.40명이다. 인구 10만 명 중 49명 이상이 제때 효과적인 치료를 받지 못해 조기 사망했다는 뜻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충북(52.92명), 인천(51.31명), 강원( 51.21명), 전북(49.89명)에 이어 다섯번째로 많다. 반면 광주는 40.63명으로 세종(37.78명), 서울(40.25명)에 이어 광역지자체 중 세 번째로 낮았다.

남 의원은 “전국 시·도별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치료 가능 사망률 등은 지역 간 건강격차를 의미한다. 권역 책임의료기관 육성, 지역 거점 공공병원 확충·기능 보강, 의료 취약지 지원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면서 “공공의료 중심의 지역완결적 필수의료체계를 구축, 지역간 건강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신과 전문의의 지역 불균형도 심화되고 있다.

전진숙 민주당 의원(광주북구을)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동안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광주의 경우 98명에서 118명으로 고작 20명, 전남은 113명에서 126명으로 13명 늘었다. 특히 신안과 완도군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단 한 명도 없다.

타 지역대비 높은 전남의 의료 취약성으로 인해 전남대병원 본원 응급실에 내원한 전남지역 환자들의 사망률도 광주지역 환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문수 민주당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 갑)이 분석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9월까지 전남대병원 본원 응급실을 찾은 이후 사망한 환자 수는 광주 7.2명, 전남은 8.6명이었다. 전남에서 내원한 응급실 환자 사망률이 광주보다 전남이 1.4명 더 많았다.

김 의원은 “응급환자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의과대학과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전남의 의료 취약성 또한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응급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결과적으로 환자의 생존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사는 곳이 달라 사망률도 다른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의과대학이나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전남의 의료 취약성은 지역 주민들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전남 동부권인 순천과 서부권인 목포 간의 이동도 차로 1시간 이상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의대 설립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선욱·오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