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의정갈등 멈추고 코로나 재유행 맞서야
전공의 미충원·파업 우려도
2024년 08월 21일(수) 17:23
의정갈등 여파로 전공의 미복귀·미충원 사태가 확산하는 가운데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의료현장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지역내 의료보건노동계가 파업 찬반 투표에 나서면서 향후 파업으로 치닫는다면 의료 공백 대란까지 우려된다.

홍정익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장은 지난 19일 YTN 라디오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인터뷰를 통해 “지금 코로나 환자 수는 작년 8월의 절반이지만 최근 2년간의 여름철 유행 동향과 추세를 분석할 때 월말에는 작년 최고 수준인 주당 35만명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의료현장에서 전염병 확산에 대한 대응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다. 장기간 의정갈등 여파로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고 있고 신규 충원도 되지 않았다. 광주 수련병원들은 이에 대비해 올 하반기 전공의 재모집에 나섰지만 또 다시 지원자가 없었다. 의료 공백상황이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주요 병원 보건의료 노동계는 파업 위기에 몰려있다. 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본부 산하 조선대병원·호남권역재활병원·순천성가롤로병원 등 지회 3곳은 20~22일 동안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 나선다. 전공의 비복귀와 채용 실패, 코로나19 재유행. 여기에 의료 인력 파업까지 더해진다면 추석 즈음이면 말 그대로 ‘지옥’의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는 게 의료계의 분위기다. 의정갈등 속에 의료현장을 떠나지 않은 의료인력들은 이미 지칠 대로 지친 상황이다.

정부는 코로나 재유행에 대비, 코로나19 치료제 추가 구매를 위해 예비비 3268억 원을 확보했다. 광주시 등 지자체도 전염병 감시 강화 등 대비책을 내놓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대비책으로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의료현장의 위기를 타개하지 않고서는 전염병 대비는 불가능하다. 의료현장에 남아 묵묵히 일하는 의료진들에게 코로나 재유행 상황이 전가 되서는 안된다. 전염병 확산이라는 위기상황임을 안다면 정부와 의료계는 국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한 갈등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