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한뿌리’ 광주·전남 경제공동체 서둘자
시·도, 상생발전 실무위 개최
2024년 06월 27일(목) 17:17
광주시와 전남도가 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해 첫 만남을 가졌다. 시·도는 지난 26일 민선 8기 2년 만에 광주·전남 상생발전 실무위원회를 개최했다. 실무회의가 중단된 지 거의 2년 만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존 37개 협력과제의 이행사항을 점검하고, 신규 협력과제와 장기 검토 과제 사전 논의를 통해 경제공동체 추진 전략을 모색했다. 주요 신규 협력과제로는 재생에너지·인공지능(AI)·미래자동차·반도체 등 지역자원 연계 산업육성,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이전, 개방형광역수장 보전센터 건립, 광주·전남 메가시티 협의체 등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번영을 위해 실무위원회에서 논의한 의견을 토대로 협력과제의 추진 실행력과 효율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광주·전남은 경제, 교통, 문화 등 연계성으로 봤을 때 사실상 ‘한 뿌리’와 같다. 하지만 지역 현안을 놓고 좀처럼 상생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광주는 군 공항 이전 특별법, 광주-대구 내륙철도 추진을 위해 대구와 ‘달빛동맹’을 전남은 남해안 관광벨트 등을 위해 경남과 연대·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는 지난 2022년 7월부터 논의가 중단됐다. 시·도 공동협력사업인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사업 등이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양 시·도간 협치 부족이 원인으로 꼽힌다. 시·도 상생발전위가 실무회의를 재개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시·도간 상생전략 모색은 결코 중단해서는 안 된다. 광주·전남은 수도권과 충청·영남권 등과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인구·경제 규모면에서 크게 뒤쳐져 있다. 이미 대구·경북, 부산·경남의 행정통합과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4개 시·도간 메가시티 구축 논의가 활발하다. 광주·전남 역시 서둘러 상생발전 방안을 실현시켜야 할 것이다. 과거처럼 공동발전 도모를 소홀히 한다면 광주·전남은 인구절벽, 경제쇠퇴 등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지역소멸에 봉착하게 될 것임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