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이윤선의 남도인문학>‘권력을 누리는 용 아닌 백성을 섬기는 용’이 시대정신
383)용과 용둠벙
“용 같지 않은 용은 때려잡고, 사람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고 아픔을 다듬어주며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주는 그런 철학을 가진 이들을 마땅히 등용시켜야 진정한 용의 해일 것이다. ”
2024년 02월 15일(목) 13:21
겨울철 광주 광산구 황룡강 모습. 뉴시스
지난 설날 광주교통방송 아침 인터뷰를 했다. 올해가 갑진년(甲辰年) 청룡의 해이니 남도의 용을 설명해달라는 취지였다. 갑진년 양력설 본 지면에 ‘용보다 소사 아저씨’라는 제목으로 남도의 용을 소개한 바 있는데 종종 질문해오는 사람들이 계시기에 답변 삼아 다시 언급한다. 갑진(甲辰)은 60갑자 중 하나다. 우리 조상님네들은 세상의 주기를 60년으로 계산했다. 하늘의 수 천간(天干) 즉 10간과 땅의 수 지지(地支) 즉 12지를 서로 교직시켜서 최소공배수인 60을 만들었다. 갑자년, 을축년 등으로 조합해 열 번이 끝나면 10간의 첫째를 12지의 열한 번째부터 조합해 순환하는 방식이다. 갑진년(甲辰年)의 갑(甲)이 육십갑자 41번째인 푸른색을 뜻하고, 땅의 수 진(辰)은 용을 뜻하기에 청룡의 해라고 한다. 하지만 모든 용이 청색인 것은 아니다. 동서남북 방위를 설정할 때 동쪽을 담당하기에 그리 구분하는 것이지, 우리 사상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오행(五行)의 중심은 오히려 황룡(黃龍)이다. 용 자체가 상상 속의 캐릭터라 어떤 근원으로부터 변화하면서 생성되어왔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용은 존재한다. 인간 욕망의 투사물이라고 볼 수 있다. 서양에서는 용(龍)을 dragon으로 번역하고, 동양에서는 dragon을 용(龍)으로 번역한다. 서양에서는 용을 악마화하고 동양권에서는 용을 최고의 권좌, 가장 권위 높은 캐릭터로 상정한다. 용을 바라보는 시선이 극단적이다. 힌두교의 나가(Naga)도 용이다. 코브라처럼 생긴 뱀의 형상을 하고 있다. 동양권의 용 중에서는 지렁이도 토룡(土龍) 곧 용이다. 견훤 탄생설화를 통해서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문화권, 문명권별로 용이라는 캐릭터를 서로 다르게 설정했음을 알 수 있다.



남도에 용(龍) 관련 지명이 전국 대비 가장 많은 까닭



용 관련 지명은 전국에서도 광주 전남지역이 가장 많다. 올 초 전라남도가 조사를 한 모양인데, 전국 1,261곳 중에서 310곳으로 25%를 차지한다. 전국 최고다. 아마 마을 이름이나 산 이름 정도를 조사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지명총람>의 광주전남을 참고해보면 마을 이름, 산 이름, 강이나 하천 이름, 계곡이나 못 이름뿐만 아니라 바위, 산등성이, 둠벙에 이르기까지 천여 개가 넘는다. 조사에서 밝힌 바로는 순천이 가장 많고 해남, 영암, 무안, 나주 순으로 많다고 한다. 실제는 지금의 영산강 권역에 용 설화나 용 지명이 가장 많이 분포한다. 예컨대 전남지역에 보고된 74편의 용 설화중에서 영산강 유역 설화가 57%를 차지한다. 이중 대표적인 지명이 장성 황룡강이다. 용은 용 자체의 지명으로 끝나지 않는다. 용소(龍沼), 용연(龍淵), 용지(龍池), 용담(龍潭), 등 이른바 ‘용둠벙’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둠벙은 갱(坑)이다. 강 혹은 갱번이란 이름이 여기서 왔다. 한자의 뜻대로라면 용소는 늪, 용연은 연못, 용지는 연못이나 도랑, 용담은 연못이나 물가 정도이다. 모두 물과 관련되고 장차 용왕(龍王)의 뜻으로 확대되어 사해 바다를 관장한다. 당골의 노래에서 나타나듯이 동해는 청제용왕, 서해는 백제용왕, 남해는 적제용왕, 북해는 흑제용왕 등으로 호명된다. 물론 남도에만 용 이야기나 지명이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시아가 다 그러하다. 예컨대 제주도의 용담(龍潭)은 천지창조 후 만들어진 것으로 전승되었다. 태초에 바다 한가운데서 한라산이 솟아올랐는데 백록담에서 큰 내(川)가 두 줄기 흘러내려 바다와 만나는 곳에 용연(龍淵)을 이루었다. 동학 창시자 수운 최제우도 경주 용담정(龍潭亭)에서 뜻을 깨치고 포교를 시작했다. 용담가(龍潭歌)는 물론 천도교(동학) 성전(聖典)인 용담유사(龍潭遺詞)가 여기서 나왔다. “용둠벙에서 전하신 가사(歌詞)”이다. 광주는 용봉동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반룡동과 봉곡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반룡이 반룡희주형(盤龍戱珠形-용이 구술을 가지고 논다는 뜻)풍수 명당이었다. 지금은 대부분 전남대에 편입되었다. 광주 어룡동은 어등산과 황룡강을 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용진산, 복룡산 등의 이름 중 어등산은 물고기가 산으로 올라간다는 의미로 민화로 말하면 등용문(登龍門, 잉어가 여의주를 물고 승천한다는 의미)의 산이라 할 수 있다. 황룡강의 하류에 있는 산이기에 어룡이란 이름이 생겼다. 그렇다면 왜 전국 대비 남도에 용 관련 지명이 가장 많을까? 전남설화 분포를 통해 언급했지만, 후백제의 견훤과 고려 태조 왕건의 설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산강 문화권을 중심으로 고려 건국을 둘러싼 시기의 용 설화나 지명이 넓게 분포하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황해도 해양세력이던 왕건이 전라도 토호 세력 견훤을 물리치고 고려를 건국할 당시에 지금의 영산강을 중심으로 수많은 에피소드를 남긴다. 나는 적어도 영산강권역의 용 관련 지명이나 전설은 이 사건을 배경 삼고 있다고 생각한다.



남도인문학팁

남도의 용은 왜 피를 토하고 떨어지기만 하는가?

영산강의 시원이라는 담양 용소의 설화는 용이 승천하려다가 피를 토하고 떨어져죽었다는 내용이다. 이를 아기장수 설화에 대입해보면, 승천하지 못하고 떨어져 죽었으니 왕건이 아니라 견훤일 것이다. 참고로 아기장수 설화는, 신분이 미천한 집안에서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아기가 장차 역적이 될 것이라 하여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본(異本)이 매우 많다. 순천시 주암면 운용 마을의 용소(용물소라고도 한다) 이야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어떤 옛날 마을 처녀가 용둠벙에 가서 목욕을 하고 있다가 마침 옥황상제의 아들 용이 유배를 와있던 차에 사랑을 나누게 되었다. 마침내 승천하는 날, 하필 처녀의 친구가 용오름 광경을 보고 깜짝 놀라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용은 떨어져 죽는다. 다른 지역이라고 크게 다르겠는가만, 왜 남도의 용은 피를 토하고 떨어져 죽어야만 했을까? 답변 대신 전남대학교 용둠벙 이야기를 전한다. 용봉동에 위치한 전남대학교의 용지(龍池)는 유기춘 당시 전남대 총장 등에 의해 1970년에 인공으로 조성되었다. 장차 승천할 용을 배려했기 때문이다. 당시 전남대 구성원들은 담양 용소 혹은 순천의 용 설화를 익히 알고 있었을 것이고, 용좌(龍座) 재구성을 상상했을지 모른다. 그렇다면 용둠벙을 만든 지 한 갑자가 도래하는 지금쯤, 이 어간에서 대통령 한 사람 정도는 나와야 하지 않나? 어쩌면 수많은 용을 재구성하는 일을 담당했는지도 모르겠다. 일제강점기 광주에서, 소풍 가는 날 하필 비가 오면 소사가 용을 때려잡아 그런다는 얘기는 지난 칼럼에서 언급했다. 백마 타고 장흥 석대들을 지휘했다는 동학 여전사 이소사를 투영했을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아무리 영험한 용일지라도 가장 낮은 직급의 민중이 한 삽에 때려잡는 곳이 남도라는 메시지다. 그렇기에 나라가 어지럽고 힘들 때마다 떨쳐 일어나 시대를 이끌었던 곳이 광주이고 남도다. 문화는 어떤 시대 어떤 수요들이 있어 재구성되는 것이다. 마치 전남대 용지를 새로 만들었던 것처럼 말이다. 용좌라는 것이 결국 무엇이겠나? 지배해서 권력을 누리던 용은 전제정권 시대의 용이다. 우리 시대의 용은 백성을 섬기는 용이어야 한다. 장차 남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용 같지 않은 용은 한 삽으로 때려잡고, 대신에 사람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고 아픔을 다듬어주며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주는 그런 철학을 가진 이들을 마땅히 등용시켜야 진정한 용의 해일 것이다. 용 관련 가보고 싶은 명소를 질문하기에 장성 입안산 황룡강 발원지를 소개했다. 극락강의 발원인 담양 용추산(용소), 드들강 발원인 화순 화학산과 더불어 세 개의 영산강 시원 중 가장 길다. 내려오다가 동학군 전승지인 황룡강전적비를 참배해도 좋다. 전설에 기대어 말하자면 남도의 용은 청룡보다는 황룡이다.

이윤선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전남도 문화재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