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총파업 예고에 시민들 ‘의료대란 우려’ 촉각
의협, 의대 증원에 총파업 경고
의대생협도 투쟁준비 강경대응
의료계 “지역인프라 확충 먼저”
시민들 “의료공백 생길까 걱정”
2023년 11월 29일(수) 18:30
이필수 대한의사협회장(앞줄 맨 오른쪽)을 비롯한 전국의사대표자 등이 지난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의대 정원 확대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 및 확대임원 연석회의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의사 단체가 총파업 카드를 또다시 꺼내들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총파업을 시사해 파장이 우려된다. 지역민들도 의협 총파업에 ‘의료공백이 일어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행정·보건당국은 공공의료 인프라 등을 활용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29일 광주·전남 의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26일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는 서울 의협회관에서 열린 의대정원 확대 대응방안 논의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 및 확대임원 연석회의에서 ‘의대 증원 반대 삭발식’을 단행했다. 이들은 지난 21일 정부가 기존 의과대학 정원3058명을 2030년까지 7011명으로 늘리겠다고 표명한 것에 반발했다.

복지부는 10월27일부터 지난 9일까지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의과대학 증원 수요조사를 진행해 △2025년 최대 2847명 △2030년 최대 3953명까지 의사 공급이 증가돼야 한다고 발표했다.

전국 의대생들도 의대 정원 확대 정책 반대 입장을 내놨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정부는 의학교육의 현실을 직시하고 학생과 소통하라’는 성명을 통해 “정부의 일방적 의대 정원확대 정책 철회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광주·전남 의사협회도 의대 정원 증가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정부 정책 비판을 이어갔다.

지역 의사협회 관계자는 “의료 취약지나 필수 의료 부족 문제는 단순히 의사 정원을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며 “중앙 의협과 입장을 함께가겠다”고 말했다.
이필수 대한의사협회장이 지난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의대 정원 확대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 및 확대임원 연석회의에서 삭발하고 있다. 뉴시스
고조되는 정부와 의협 갈등에 지역민들은 ‘의료공백으로 이어지는 것아니냐’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동구보건소를 찾은 김진희(59)씨는 “전국적으로 독감이나 ‘백일해’ 감염률이 심각해지고 있다. 겨울철 병원 수요가 늘어나는 시기에 의료진들이 휴업한다면 그 공백이 크게 느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의료계는 무기한 총파업 발생 시, 도서지역 등 의료 취약지가 위험에 노출된다며 정부의 빠른 대처를 촉구했다.

전남지역 의료원 관계자는 “양측 줄다리기가 팽팽해지면서 섬 등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의 의료 공백이 우려된다. 총파업 규모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사전에 이를 막을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자세로 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사 증원에 대해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의협은 체계적 증원과 합당한 비전 제시를 원하는 거다. 정부가 이 점에 대해서 확실한 대안을 제시해주면 된다”며 “필수과 의료 수가(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 등으로부터 받는 돈)를 차등 적용하는 등의 내용이 필요하다. 최근 이슈되고 있는 전남 국립 의대 신설도 지역 의료 취약지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역 보건당국은 총파업으로 인한 의료 공백이 없도록 예의주시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 의료관리팀 관계자는 “지난 2020년에도 대규모 의사 총파업이 있었다. 당시 지역 보건소·공공의료원 등과 연계해 사안을 해결했다”며 “당장은 각 병·의원에 총파업 미참여 안내문을 전달할 예정이다. 총파업 시 지역민들에 안내될수 있도록 알림망도 구축할 계획이다. 시민들이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지역 의료기관과 협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민섭·정성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