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 데스크칼럼>상생 흐르는 영산강을 바라며
김성수 정치부장
2023년 05월 11일(목) 17:07
김성수 부장
담양군 용면 가마골 ‘용소’에서 발원된 영산강은 남도의 젖줄이다. 총길이 115.5km, 유역면적 3371㎢규모로 광주·전남 8개 시·군을 아우른다.

강은 고대문명의 발원지였던 것처럼 영산강도 마한 등 고대문명을 탄생시켜 오늘날 350만명의 시·도민이 거주하는 거대 도시로 발전시켰다.

전라도 천년사를 유유히 지켜본 영산강은 1980년 이후 크게 변화했다. 1981년 하굿둑이 축조되면서 바다와 연결됐던 통로가 가로막혔고 산업발달, 도시팽창 등으로 수질은 악화됐다. 2000년 이후엔 이명박 정부시절 ‘4대강 살리기’ 일환으로 승촌보, 죽산보 등이 건설되면서 영산강은 ‘강의 흐르는 기능’이 사실상 상실됐다.

영산강 주변의 도시형태도 변화됐다. 1986년 광주직할시 승격으로 광주·전남이 분리됐고, 1995년 민선 자치시대 이후 지자체들이 경제활성화를 위한 무한경쟁에 돌입했고, 지역불균형에 인구감소 등 지역소멸 위기도 도래했다. 이런 위기속에 광주·전남에 아낌없이 내어준 영산강은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사실상 ‘버려진 강’으로 전락한 영산강은 ‘수질악화’로 몸살을 겪고 있다. 영산강 수질은 전국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가운데 가장 취약하다. 수 십 년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상류지역은 1~2급수를 유지하다 광주 등 중류지역에 들어서면 4~5급수로 낮아졌다가 다시 하류에서 2~3급수로 개선되는 구조다. 지난해 영산강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이 광주 제1하수처리장에서 흘러나오는 방류수라는 환경청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민선 출범이후 영산강의 수질 개선노력과 육성방안 등이 수차례 나오기도 했다. 영산강의 시작과 끝이 있는 전남도가 민선 이후 적극적으로 영산강 활용 등에 나섰다.

민선 1~2기때 악화된 영산강 수질개선 움직임을 보였다. 민선 3~4기때는 내륙 관광 벨트 구축 일환으로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 조성 사업을 전개했다. 민선 5~6기땐 마한 복원과 영산강 뱃길 복원사업, 하구 퇴적오니 준설, 민선 7기 이후 영산강 300리길 등 굵직굵직한 공약을 내놓기도 했다

광주시도 민선 초기 영산강 관련 사업 여부를 확인 할 수 없었지만 민선 5기 영산강 생태중심도시 조성, 민선 6기땐 광주·전남 상생방안으로 ‘영산강 재자연화(복원) 방안이 논의됐다. 민선 7기땐 친환경 생태물길 4대 프로젝트 일환으로 영산강 국가정원 지정 등도 검토됐다.영산강을 통해 1000만 관광객을 유치하자는 전략이었다.

하지만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 조성을 제외하고 영산강과 직접적인 사업 대부분은 국비 확보 실패·단체장 교체 등으로 번번히 무산됐다.

민선 8기 들어 광주시는 영산강·황룡강 권역 문화관광자원 시설 구축을 위한 일명 ‘Y-프로젝트’를 구상중이다. Y벨트의 ‘Y’는 영산강과 황룡강이 합류하는 지점을 형상화했다. 두 강이 만나듯이 과거와 미래, 기술과 예술, 광주와 전남 등이 만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광주를 활력 넘치는 도시로 만들기 위한 강기정 시장의 핵심 공약이다. Y벨트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예산확보, 치밀한 계획도 중요하지만 영산강으로 이어진 전남과의 ‘상생’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구체적으론 Y벨트 중앙에 위치한 광주 군공항 이전문제를 들 수 있다. 지난 10일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이전 논의에 첫발을 내디뎠다. 또한 영산강 수질개선을 위해 시도의 공동 노력도 절실하다. 강을 활용한 프로젝트의 필수 요인이 바로 ‘수질개선’이기 때문이다.

영산강은 광주와 전남을 잇는 상생고리다. 민선시대 이후 광주시와 전남도가 손을 맞잡고 상생을 외쳤지만 ‘선언적 약속’에 그쳤다는 평가다.

광주·전남은 수세기 동안 영산강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음을 명심해야 한다. 행정구역상 분리됐지만 뿌리가 같은 ‘공동체’이다. 강 시장이 구상한 Y-프로젝트의 ‘Y’는 두 줄기가 하나로 이어진다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상생’을 통해 광주·전남이 하나로 뭉쳤을 때 ‘영산강 르네상스시대’가 다시 찾아올 것이라는 부푼 기대를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