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사회 인프라 부족... 향후 지역 소멸할 것”
전경련, 지역경제 현황·전망 조사
전남 59% “거주 지역 소멸” 우려
광주·전남 주민 80% "경제 악화"
41%는 미래에 수도권 이주 희망
2023년 04월 11일(화) 16:55
광주·전남 지역민 10명 중 8명은 올해 지역경제가 지난해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전남지역 주민 절반 이상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이 소멸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어 지역사회에서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결과에 따르면 광주 지역민 77.8%, 전남 지역민 80.5%는 올해 거주지 경기 수준이 지난해에 비해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북 78.2%, 부산 80.4%, 경북 82.2% 등 전국 평균치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전반적으로 올해 지역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자리 역시 모든 지역에서 감소를 전망했는데, 광주는 77.7%, 전남은 79.0%가 지난해보다 올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전국 지역민의 41.1%가 미래에 거주지를 떠나 수도권으로의 이주를 희망한다고 응답했는데, 세대별로는 20대(64.4%), 30대(41.7%), 40대(39.2%), 50대(36.1%), 60대 이상(28.3%) 순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수도권 전입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20대 비율은 60대 이상의 2.3배가량이다.

수도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주요 이유로는 ‘열악한 일자리 여건’이 47.4%로 가장 많았으며 ‘문화·휴식시설의 부족’ 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 20.4% 등이 뒤를 이었다.

여전히 지역의 일자리와 사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젊은 세대의 수도권 전입 희망률이 높음에 따라 지방 인구의 고령화 현상과 지방 소멸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전국 지역민의 절반 수준인 49.4%가 “우리 지역이 사라질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이 중 64.0%는 20년 이내로 소멸 시기를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남(58.5%)을 비롯한 경북(66.7%), 전북(64.8%), 울산(60.0%), 강원(54.2%), 대구 (50.9%) 등에서는 ‘지역이 소멸될 수 있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섰다.

반면, 광주(37.7%)를 비롯한 세종(20.0%), 충남(41.3%), 경남(42.5%), 충북(43.1%), 대전(44.4%), 제주(45.5%), 부산(48.6%) 등 8개 시·도는 지역소멸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전망했다.

지역소멸 시점에 대해서는 ‘10년 초과 20년 이내’가 32.2%를 차지했으며 ‘5년 초과 10년 이내’가 25.7%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 악화 주요 원인으로는 지역산업 위축(27.0%), 지역소비 부진(26.1%), 지역재정 악화(16.6%) 등을 꼽았으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지역산업 활성화 등 지역 일자리 여건 개선(53.5%), 생활 인프라(쇼핑·병원 등) 구축(19.3%) 등이 요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지방의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관광산업 활성화와 함께 지역의 성장동력 발굴·육성에 대한 노력이 시급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