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 남부 지방 가뭄 전방위적 대응을  
선제적 대응 통해 피해 줄여야
2022년 11월 22일(화) 16:47

올해 광주·전남의 강수량이 평년의 60% 수준에 그치는 등 최악의 가뭄이 계속되자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광주·전남· 제주 등 남부지방에서 가뭄이 지속됨에 따라 지자체 가뭄대책 추진을 위한 특별교부세 55억원을 긴급 지원한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이번에 교부되는 특별교부세는 섬 지역 급수 운반 및 해수담수화시설 설치, 생활용 관정 개발, 농업용 저수조 증설 및 관로 정비 등에 쓰인다. 이어 환경부는 22일 오후 광주시·전북도·전남도 등 지방자치단체와 행정안전부·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한 가운데 가뭄대책 관계기관 회의를 열었다.환경부에 따르면 전남 가뭄이 현 상태로 지속하면 홍수기가 시작하는 내년 6월 전에 대부분 댐 수위가 물 공급 한계선인 저수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수위 이하의 물은 수질 등의 문제로 용수로 사용할 수 없다.환경부는 7월부터 댐에서 내보내는 하천유지용수와 농업용수량을 줄이고 비가 내려 하천의 유량이 늘었을 때는 댐의 물이 아닌 하천수로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암댐과 섬진강댐 등에 총 6774만t(톤)의 물을 비축해놨다고 밝혔다. 이는 전남과 광주에서 사용하는 용수 35일 치에 해당한다.환경부는 여수·광양산단 공업용수 수입을 줄이기 위해 입주 기업에 공장 정비 시기를 내년 상반기로 조정해달라고 요청할 방침이다.또한 물 사용량을 줄인 지자체에 수도 요금을 지원하는 '자율 절수 수요조정제'를 개편해 물 절약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도 위약금을 내지 않도록 했다.완도 등 섬에 대해서는 하루 300t씩 담수를 생산할 수 있는 해수담수화 선박 등을 활용한 비상급수 방안을 마련한다. 올해 들어 20일까지 전남 강수량은 805.5㎜로 평년 같은 기간 강수량(1340.1㎜)의 60%에 불과하며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인 1973년 이후 50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기록적인 가뭄에는 지자체 대응과 지역민의 절수만으로 역부족인 만큼 범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장기화한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와 지자체,기업, 지역민이 하나가 되어 대응할 때 성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정부는 식수난과 영농 차질 등 국민 생활 불편과 경제 손실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한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