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미 판문점 회동 성사 배경은
트럼프 트위터 제안에 북한 호응||비건, 29일 北과 판문점 한밤 극비협의
2019년 06월 30일(일) 18:4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30일 오후 사상 첫 판문점 회동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를 통한 깜짝 제안에 김 위원장이 호응하면서 속전속결로 이뤄졌다.

남북미 판문점 회동은 사전에 합의된 만남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에서 시작됐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 오사카에 머물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9일 오전 오전 7시 51분 트위터를 통해 "한국에 있는 동안 김 위원장이 이 글을 본다면 나는 남과 북의 국경지대인 DMZ에서 그를 만나 그와 악수하고 인사했으면 좋겠다"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렸다.

이 때만 해도 북미 정상 간 만남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5시간만에 화답하면서 상황은 급진전됐다.

최 부상은 오후 1시 6분께 담화를 통해 "분단의 선에서 조미 수뇌 상봉이 성사된다면 두 수뇌분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친분관계를 더욱 깊이 하고 양국 관계 진전에서 또 하나의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며 같은 입장을 밝혔다.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특별대표는 전날 밤 최선희 부상과 판문점에서 만나 이날 양국 정상의 만남을 조율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비건 대표가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과 함께 헬기를 타고 직접 판문점으로 가서 북측 인사와 만나 경호와 동선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건 대표와 후커 보좌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주재한 만찬에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나타나지 않았다. 이때 북측과 회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30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담 뒤 가진 회견에서 "(DMZ 회동 제안에) 김 위원장에게도 바로 반응이 왔다"고 말한 것도 이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 만남에 문재인 대통령이 얼마나 함께할지는 끝까지 베일에 싸여있었는데,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먼저 잠시 대화를 나눈 뒤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 앞에서 문 대통령이 합류하면서 3자 회동이 성사됐다.

한국과 미국은 '북미 판문점 회동'을 준비하면서 긴밀히 소통하면서 '세기의 이벤트'를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동환 기자 cdston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