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오리 사육량 많은데... 매년 찾아오는 'AI공포' 대책없나
전남 최근 5년간 고병원성 154건 발생·피해액만 1584억 달해||확산방지 "사육농가 조기 신고"·방역초소 설치 등 강화
2018년 12월 10일(월) 19:21
전남도 방역 관계자들이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된 강진 만덕간척지에서 AI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을 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최근 강진에 이어 순천의 야생조류 분변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항원이 잇따라 검출돼 방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지난 4일 강진 만덕간척지 야생조류에서 채취한 분변에서는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조사 결과 '저병원성 AI'로 확진됐다. 같은 날 순천만 야생조류 분변에서 검출된 AI H7형은 '고병원성'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고병원성 AI는 매년 가을·겨울 기승을 부리는 치명적인 가금류 전염병이다. 조류독감이 새에서 사람에게 옮길 가능성 자체는 낮지만 외국에선 변형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사람에 옮아 사망한 사례도 있다.

전남지역은 오리 사육량이 많은데다 지난해 AI가 잇따라 발생한 위험지역이라는 점에서 걱정을 깊게 한다. 전남도는 조류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고병원성 AI 차단 방역에 온힘을 쏟고 있지만 해마다 찾아오는 AI 차단을 위해서는 사육농가의 조기 신고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고병원성 154건 발생

전남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이하 AI)가 지속적으로 꾸준히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남지역은 닭·오리 사육량이 많은데다 지난해 AI가 잇따라 발생한 위험지역이기 때문이다.

10일 전남도 가금 사육 현황에 따르면 닭 사육은 2276만6000마리로 전국에서 다섯번 째로 많다. 오리 사육은 518만7000여 마리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49%를 차지한다.

전남에서 최근 5년 간 AI 발생건수는 154건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4년 12개 시군에 68건(오리62, 닭6), 2015년 5개 시군 39건(오리39), 2016년 7개 시군 17건(오리15, 닭2), 2017년 8개 시군 25건(오리25), 올해 4개 시군 5건(오리5) 등이다.

최근 5년 동안 살처분한 닭과 오리는 347농가 673만여 마리에 달하고, 피해액도 1584억원에 이른다.

●차단방역 미비가 확산 주요인

현재까지 AI 전파의 주범으로는 철새로 꼽히지만 차단방역 미비가 AI 확산의 주요 요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9일 나주 혁신도시내 광주전남연구원에서 열린 'AI대응 선진화 정책토론회'에서 이용보 전남도 동물방역과장은 "AI 발생 농가의 83.5%는 차단방역 미비 때문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 과장이 용역연구를 통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전남지역 AI 발생 농가 농장 내 유입경로 분석 결과 철새 등 야생조수류에 의한 발생은 전체 163건 중 22건으로 13.5%에 불과했다.

나머지 83.5%(136건)는 차량이나 인근 전파, 축주나 종사자 등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차량 45건(33.1%), 인근 전파 34건(24.2%), 축주/종사자 33건(24.2%), 가축이동과 농장 외부인원에 의한 전파는 각각 12건(8.8%)이었다.

차단 방역상 문제점으로는 '차량·출입자에 대한 소독 등 차단방역 조치 미흡'이 27.6%로 가장 높고 축주·종사자에 대한 차단방역 미흡은 20.9%로 뒤를 이었다.

농장이 철새도래지 주변에 있어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비율은 20.2%, 가축이동시 감염 여부 확인 부족이나 야생조수류에 대한 통제 대책 미흡은 각각 7.4%였다.

●사육농가의 조기신고가 중요

전문가들은 AI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사육농가의 조기 신고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숙현 전남동물위생시험소 역학조사팀장은 "철저한 차단과 AI 조기 종식을 위해 조기 신고가 중요하다"며 "오리가 녹색분변을 한다거나 폐사가 늘어나는 등 임상 증상이 평상시와 다르게 느껴졌을때 바로 신고만 하면 전문가들이 바로 가서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차량과 사람에 대한 소독 등 차단 방역 조치 확대와 축주나 종사자에 대한 방역 강화도 제시됐다.

이용보 전남도 동물방역과장은 "AI는 처음 철새로 농장에 전파되지만 차량과 축주, 종사자 등에 의한 전파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차량과 사람에 대한 소독 등 차단 방역 조치 확대와 축주나 종사자에 대한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농장 내 AI는 왕겨살포 장비 사용과정에서 전파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해 가설건축물 축사 시설 업그레이드를 통한 사육환경 개선도 대안으로 나왔다.

●전남도, AI 방역초소 설치 등 방역강화

전남도는 AI 차단 방역에 더 힘을 쏟기로 했다. AI 발생 우려가 높은 종오리 농장 17개소에 10일부터 내년 1월까지 방역초소를 설치해 운영키로 했다.

24시간 근무자를 배치해 출입자를 통제하고, 소독 후 농장 진입을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는 시군에 방역초소 설치 운영을 위해 예비비 2억원을 긴급 지원했다.

올해부터는 모든 오리 농가 주변에 생석회를 뿌려 AI 바이러스의 유입을 막기로 했다. 도 재난관리기금 3억원을 지원해 지난 10월부터 2회에 걸쳐 생석회를 일제 살포했으며, 오는 12일 3차 일제 살포에 나선다.

주요 철새 도래지인 순천만, 영암호, 고천암 주변 도로 등에 군 제독차량과 광역방제기를 동원해 13일부터 20일까지 일제 소독을 한다. 또 철새 도래지에 통제초소 5개소를 설치해 운영하고, 철새 예찰 감시요원 33명을 채용해 모니터링하고 있다.

최동환 기자 cdston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