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전환 유도해야"
▶최성문 순천대 여순연구소 연구원·특별법 범국민연대 대변인
“‘항쟁’으로 기록되지 못해 역사연구·문학적 조명 사례도 적어”
“‘항쟁’으로 기록되지 못해 역사연구·문학적 조명 사례도 적어”
2018년 10월 18일(목) 17:06 |
여순사건은 오랫동안 반공 이데올로기를 앞세운 세력에 의해 '지역민의 반란'으로 불렸다. 정부가 여순사건을 계기로 국가보안법을 제정했으니, 여순사건이 '반란'이라는 인식은 오랫동안 국민들에게 확고했다.
최근 여순사건에 대한 역사적 재정립을 통해 지난 1948년 이승만 정부의 남한 단독선거에 거부한 제주도민을 학살하라는 부당한 명령을 거부한 정당한 항쟁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전남 동부권만의 '이슈'로 한정된 것이 현실이다.
특별법 범국민연대 대변인을 맡은 최성문 순천대여순연구소 연구원은 "여순사건은 제주 4·3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여순사건이 '정당한 항쟁'이라는 국민적 인식은 지금까지도 부족하고, 역사적 사실 또한 왜곡이 심하다"고 주장했다.
제주 4·3의 경우 특별법이 제정돼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이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봉행된 추념식에 대통령이 직접 찾아와 당시에 자행된 국가폭력에 대해 사과를 했지만, 여순사건의 경우 2000년 이후 네 차례나 특별법이 국회에 발의됐으나 번번이 무산됐고, 20대 국회에서도 계류 중이다.
이처럼 국가적 차원에서 여순사건은 아직 '항쟁'으로 기록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최 연구원은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하니 광주 5·18민주화운동과 제주 4·3에 비해 역사연구와 진상규명이 훨씬 더디다"고 밝혔다.
여순사건은 정책뿐만 아니라 문학적으로 조명되는 사례도 다른 역사적 사건에 비해 적다.
최 연구원은 "제주 4·3은 일반 사람들에 잘 알려진 소설 '순이 삼촌' 등을 통해 문학적 재해석이 다수 이뤄졌다. 그러나 여순사건은 일반에 잘 알려진 문학작품이 거의 없다. 그나마 여순사건 종결 이후 빨치산의 문제를 다룬 '태백산맥'이 가장 유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역사적 고증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뿐더러 여순사건에 대한 언급조차 허용되지 않았던 공포 분위기가 지금까지 작용했을 것으로 본다. 문학적으로 승화되지 않으니 일반인들에도 '친숙하게' 알려지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최 연구원이 속해있는 순천대 여순연구소는 이 같은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역사 문화적인 재평가 작업을 확산시키고자 이달 중 여순사건 관련 잡지를 창간해 발행할 예정이다.
최 연구원은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연구소와 지역 전문가들의 뜻을 모아 국민들에게 여순사건을 다소 쉽고 구체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잡지를 창간하기로 했다"면서 "이달 중 창간호가 발행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김화선 기자 hwasun.kim@jnilbo.com hwasun.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