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임동 방직 부지 공공성과 개발 조화 관건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임동 방직 부지 공공성과 개발 조화 관건
공공기여 비율 등 큰 입장차
  • 입력 : 2022. 12.08(목) 17:15
  • 편집에디터

옛 광주 임동 전남·일신방직 부지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추진 방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7일 광주시의회 주최 전남·일신방직 부지 개발 시민 공개토론회에서도 지역사회 최대 이슈임을 실감케했다. 개발업체가 이날 밝힌 보존 기준과 공공성 확보 계획을 보더라도 크게 공공기여 비율이 30%와 70%로 큰 차를 보여줘 개발사와 시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이 쉽지 않음을 보여줬다.

옛 전남·일신방직은 1935년 일본 방직업체가 설립한 공장이 모태로 해방이후 민간에 불하됐고, 이 두 공장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 여성노동자에 대한 착취와 산업화 과정에서 여성 근로자들의 고단한 삶의 흔적이 남아있는 근대 산업문화유산으로 손꼽힌다. 옛 전남·일신방직은 광주전남 경제의 중심으로 큰 역할을 해오다 방직공업 쇠락으로 명맥만 유지해오다, 지역 발전 차원에서 부지에 대한 개발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부동산 개발업체 휴먼스홀딩스가 부지를 매입해 개발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지역사회에서 보존과 개발 입장이 맞물려 뜨거운 논란이 일어 주춤한 이후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와 특급호텔 건립이 추진되고 잇다.

옛전남·일신방직 부지 개발은 광주의 도시발전과 역사성과 상징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큰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그렇기에 대선과 지방선거 과정에서 터져나온 복합쇼핑몰 건립에 대한 지역민 반대의 장애물은 제거됐다고 할지라도, 이 공장 부지가 광주에서 최대 노른자위로 통하고 있는 만큼 광주시 현안 해결 차원에서 특정 업체만 고려하는 방식은 통할 수없음은 불문가지다. 이에 공공성과 합목적성에 부합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필요충분조건이다. 광주시가 6개월안에 협상을 하면서 역사성, 공공성, 지역성,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하나, 입장차가 첨예해 쉽지 많은 않을 것임은 분명하다. 짜여진 시한의 틀속에서 얽매이지 말고 행정, 개발업체, 지역주민을 비롯한 지역사회가 지속적으로 허심탄회한 토론과 논의를 거쳐 모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