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우원식, 추미애 꺾고 22대 국회의장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국회
민주 우원식, 추미애 꺾고 22대 국회의장
“단순 중재자 되진 않을 것”
이학영 부의장 후보...전북 순창 출신
  • 입력 : 2024. 05.16(목) 15:04
  •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
우원식(왼쪽)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학영 의원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 당선자 총회에서 각각 국회의장과 국회부의장 후보로 선출된 뒤 축하꽃다발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뉴시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노원갑·5선)이 16일 제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됐다.

진선미 민주당 선거관리위원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 당선자 총회’에서 우 의원이 재적 의원 과반수 동의를 얻어 의장 후보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총 169표 중 과반을 얻어 추미애 의원을 꺾었다.

당초 추 의원이 ‘명심’(이재명 대표 의중)을 얻어 압도적 승리를 거둘 것이란 예상을 뒤집은 이변이다.

우 의원은 수락 연설에서 “올바른 일이 있으면 여야 간 협의를 중시하지만 민심에 어긋나는 그런 퇴보나 아니면 그런 지체가 생긴다면 국회법에 따라서 처리하고 그것이 국민들의 삶을 편안하게 만들어 나가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중립은 몰가치가 아니다”라며 “중립은 국민의 삶을 편안하게 만들고 권리를 향상시켜나갈 때 그것이 가치가 있는 일이라는 소신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총회 후, 우 의원은 ‘결과를 예상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최선을 다해서 했다”고 짧게 답했다.

그는 “명심 논란이 많았는데 내부선 그렇지 않았다”며 “이변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당선자들이 제 활동을 잘 알기 때문에 저를 선택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미애 단일화’에 대한 반작용도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출마를 하면 후보들이 끝까지 경쟁하는 것이 우리가 아는 여의도 문법인데 갑자기 (추 의원으로) 단일화를 하니까 ‘이게 뭐지’라는 생각을 의원이나 당선자들이 한 것 같다”며 “그런 점도 영향이 있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해병대원 특검법 등은 대통령 거부권이 예상된다’는 질문에 대해, “국민에게 꼭 필요한 법안에 지속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하는 건 국회의 입법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양당 협의 과정에 중재자로서 참여하게 될 건데, 단순 중재자가 아니라 국회의장으로서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헌 이슈에서 국회의장으로서 역할’에 대해선 “지금 헌법은 1987년 체제로, 거의 40년이 됐다. 그 사이 우리 사회가 완전히 변했다. 거기에 맞춘 헌법 시스템을 갖는 건 당연하다. 개헌을 해야한다”며 “권력구조의 개편, 삼권분립을 확실히 하는 내용 등을 담은 개헌을 아주 중요한 과제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총회에선 민주당 몫 부의장 후보로 4선의 이학영 의원(경기 군포)이 선출됐다.

전북 순창 출신인 이 의원은 4선 남인순·4선 민홍철 의원과의 3자 대결에서 과반을 득표해 결선없이 후보로 선출됐다.

이 의원은 “국민속으로 호민관처럼 곳곳을 찾아가서 함께 눈물 흘리고 어려움 해소를 위해 뛰는 적토마 같은 호민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전남대 국어국문학과를 나와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공동의장 등을 지냈다. 유신독재 시절 전남대 문리대 학생회장으로 활동하다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등으로 옥고를 치렀다.

이날 경선에서 선출된 후보는 국회법에 따라 총선 후 첫 집회일에 여야 무기명 투표를 거쳐 최종 선출된다.

한편 민주당은 국회의장 후보 선출을 마치면서 본격 원구성 협상에 들어갔다.

당 지도부는 18개 상임위원회 중에서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포함한 11개 상임위원장을 가져오겠다는 방침이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