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 시민·공직자 대상 인권 실태조사 분석
“3년간 인권 존중 개선” 65.7%
2025년 07월 16일(수) 13:45 |
![]() 광주 광산구가 지난 15일 구청에서 ‘제3기 인권 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주민공청회를 열고 인권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공유했다. 광산구 제공 |
광산구는 지난 15일 구청 7층 윤상원홀에서 ‘제3기 인권 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주민공청회를 열어 시민·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인권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조사는 인권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됐다.
광산구는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한달간 온라인으로 광산구 시민 1987명, 공직자 264명을 조사했다.
‘3년 전과 비교해 인권이 존중받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선 긍정 응답이 65.7%로 조사됐으며 인권 관련 행정 및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62.1%였다.
지난 1년간 직접 인권침해를 경험한 시민은 6.3%, 목격한 시민은 16.1%로 나타났다.
주요 침해 유형으로는 성별·성적 관련 인권침해(39.9%), 출신 지역·국적(31.8%), 고용·노동(30.5%), 나이(29.8%) 등이 있었다.
광산구 공직자 인권 실태조사에서는 인권 행정 및 정책 만족도가 60.8%로 집계됐다.
공직자들은 인권과 관련해 ‘인간의 존엄과 가치’(89.0%)와 ‘차별받지 않을 권리’(42.8%)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 증진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인권 친화적 무장애 도시환경 조성, 치안 안전 개선, 인권 교육 강화 및 인권 친화적 문화 조성, 아동·청소년 안전 지원 등을 제안했다.
광산구는 이날 실태조사 결과와 함께 인권 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청취했다.
광산구는 9월 연구용역을 완료할 예정으로, 주민공청회 결과를 인권 정책 기본계획 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다.
광산구 관계자는 “실태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시민, 공직자의 인권 인식을 높이고, 모두의 인권이 존중받는 일상을 실현하기 위한 인권 정책 체계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상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