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당장 철회해야 할 한전공대 예산 삭감
자율성 연구활동 등 보장해야
2025년 04월 29일(화) 17:17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는 단순한 지역 대학이 아니다. 미래 먹거리인 전라남도 에너지 산업을 이끌 인재 양성소다. 그러나 최근 정부는 한전공대에 대한 예산 지원을 대폭 줄이며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한전공대는 2019년 설립 당시 정부와 한전, 지자체가 함께 약속한 국가적 프로젝트였다. 에너지 신산업 분야를 선도할 글로벌 연구중심 대학으로 육성하려면 안정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했다. 개교 초 250억원이던 정부 출연금은 올해 200억원, 내년 100억원으로 급격히 삭감될 예정이다. 이는 핵심 연구시설 구축, 우수 인재 유치, 연구 역량 강화에 타격을 준다. 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6개 시민단체가 “한전공대 예산 삭감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들은 “연구 장비 도입 지연과 대학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문제는 학생 수 감소와 맞물려 보수 정부가 추진하는 대학 통폐합 기조가 한전공대에도 불편한 시선을 던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전공대는 설립 목적부터 다르다. 지역 균형 발전과 국가 에너지 산업 지속 가능성을 위해 설계됐다. 당장의 학생 수나 단기 지표로 존립 가치를 재단할 수 없다. 한전공대는 단순한 ‘대학’ 이상의 존재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선도할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터전이며, 에너지·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국가 과제에 기여할 핵심 거점이다. 이런 비전과 가능성은 단기적 예산 논리나 정치적 셈법으로 훼손돼선 안 된다.

정부는 약속한 연간 200억원 이상의 출연금을 복원하고, 한전공대의 자율성과 연구활동을 전폭 보장해야 한다. 표적 감사나 총장 해임 압박 등 대학 운영을 위축시키는 시도도 즉각 중단해야 한다. 한전공대의 성장은 곧 한국전력, 나아가 전남과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 경쟁력을 키우는 길이다. 한전공대 지원을 끊는 것은 지역과 국가의 미래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 정부는 한전공대가 글로벌 에너지 혁신을 이끄는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폭 지원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전남과 대한민국 모두의 미래를 밝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