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문턱 높은 좋은 정책
정상아 취재1부 기자
2025년 04월 28일(월) 18:15
정상아 기자
광주 시내를 누비는 버스에 붙은 ‘현금 없는 시내버스’ 안내 문구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달부터 시행된 제도에 따라 교통카드로만 버스를 탈 수 있게 되면서 시민들은 자연스럽게 교통카드 이용에 적응해 가고 있다.

이와 함께 관심이 높아진 것이 바로 광주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인 ‘G-패스’다. 교통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요금을 할인받거나 환급받을 수 있다는 소식에 많은 시민들이 G-패스 가입을 서둘렀다.

G-패스는 시내버스·마을버스·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요금을 어린이 무료, 청소년 반값으로 할인하고, K-패스와 연계해 청년 30%, 성인 20%, 어르신 50%, 저소득 64%를 환급해 주는 제도로 설계됐다. 특히 기존 국토교통부 K-패스 혜택이 미치지 못했던 어린이·청소년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한 점은 광주만의 차별점이다.

도입 이후 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지난해 9월 이후 월평균 3000여명씩 증가하던 K-패스 가입자 수는 G-패스가 도입되면서 올해 1월과 2월 각각 1만명으로 대폭 늘어났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제도 시행과 함께 일부 불편이 나타나고 있다. G-패스의 이용 절차가 복잡한 탓에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에게는 진입장벽이 높다.

선불카드 사용자의 경우 지하철역이나 편의점에서 카드를 구매하고 앱을 통해 등록해야 하며, 매달 20~27일 사이 ‘환급금 받기’ 버튼을 직접 눌러야만 환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복잡한 절차에 지하철역과 편의점에서는 카드 등록 방법이나 환급 절차를 묻는 어르신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금남로4가역의 한 역무원은 “카드 등록을 도와드리지만, 환급 기간이 되면 다시 찾아와서 방법을 재차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광주광역시 관계자는 “정부 사업인 K-패스를 기반으로 운영하다 보니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디지털 소외계층 지원을 위해서는 동 행정복지센터 등에서 등록 지원을 하고 있으며, 어르신 교통카드와 G-패스 기능을 통합하는 방안도 국토부에 요청 중”이라고 설명했다.

광주 지역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7.6%에 달한다. 제도의 취지가 아무리 좋아도, 실제로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없다면 정책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촘촘한 지원과 접근성 개선으로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전환의 핵심 사업으로 주목받는 G-패스가 광주의 대중교통 문화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제도로 자리 잡을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