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선주자들, ‘용산 대통령실 사용 여부’ 이견
李 “용산→청와대→세종” 단계적 이전
2金 “용산 불가”…증세·원전도 엇갈려
2025년 04월 20일(일) 15:00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오른쪽부터)·김경수·김동연 후보가 지난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첫 TV토론회를 시작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김동연·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가 첫 TV 토론회에서 행정수도를 세종으로 옮기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당장 대통령 취임 직후 용산 대통령실을 임시방편으로 사용할지 여부 등을 놓고선 세 후보의 의견이 갈렸다.

20일 세 후보의 TV 토론회와 공약·발언 등을 종합하면, 이들은 모두 행정수도와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옮기겠다는 구상에 공통분모를 형성했다. 다만 조기 대선으로 선출되는 차기 대통령이 인수위원회 없이 즉시 취임하는 가운데,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상징 격인 용산 대통령실을 두고는 입장이 갈린다.

이 후보는 지난 18일 토론회에서 “용산을 우선 쓰면서 신속히 청와대를 보수해 들어가는 게 좋겠다”며 “임기 내 세종 집무실을 완공하면 마지막 종착지가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이 후보가 용산 대통령실 및 청와대 사용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이와 달리 김동연·김경수 후보는 용산 대통령실은 단 하루도 써서는 안 된다며, 임기 시작과 동시에 세종에서 집무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와 김동연·김경수 후보는 증세 등 조세 정책을 두고도 입장이 상반된다.

두 김 후보는 국가의 적극 재정 필요성을 강조하며 ‘증세 카드’를 들고나왔으나, 이 후보는 지출 조정이 먼저라며 증세에 선을 그었다.

이 후보는 토론회에서 “경제가 너무 어려워 정부의 부담을 민감에 떠넘기는 증세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현 단계에서 필요 재원은 재정 지출 조정 등으로 마련하고, 성장률을 회복해 근본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다른 두 후보는 “그렇게는 재정 확보가 어렵다”(김경수), “지출 조정 전제는 당연히 충족해야 하는 것이고, 포퓰리즘적 감세 경쟁은 정직하지 않다”(김동연)고 반박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됐던 ‘탈원전’을 두고도 입장차를 나타냈다.

이 후보 캠프 안규백 특보단장은 18일 언론 인터뷰에서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합한 에너지 믹스가 중요한 시대적 화두이자 세계적 흐름”이라며 “앞으로 그런 정책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연 후보는 원전의 적정 수준 관리를, 김경수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원전의 단계적 축소를 주장하며 이 후보와 결이 다른 모습이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