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선 주자들 “대통령실 세종 이전” 한 목소리
이재명·김경수·김동연, 일제히 공약
본선서 당 공식 공약 채택 가능성
‘용산 체제’ 결별로 중원 민심 구애
18일 오후 경선 후보자 첫 TV토론회
2025년 04월 17일(목) 17:47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가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서약문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이 집권을 전제로 한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17일 사실상 공식화했다.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후보 등 경선에 뛰어든 모든 후보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대선 본선에도 민주당의 공식 공약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대전을 과학수도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전환과 삭감된 연구개발(R&D) 예산 대폭 확대 등을 제시했다.

또 “충청권에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다”며 대전(AI·우주산업)에서 세종(스마트행정), 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유기적인 첨단산업벨트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앞서 김경수 후보는 지난 13일 세종에서 출마선언을 하면서 행정수도 세종 완전 이전 및 대통령집무실 세종 이전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김동연 후보 역시 그동안 “대통령실, 국회, 대법원, 대검을 세종시 및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이같은 움직임의 배경에는 우선 윤석열 정부 ‘용산 대통령실’과의 결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집무실을 이전해야 한다는 판단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김경수 후보의 경우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된다”며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의 소굴에서 새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하는 건 내란의 잔재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산’을 계승한다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공약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아울러 민주당의 첫 순회경선지가 충청으로 결정되면서, 주자들의 충청권 공약이 다른 지역 공약에 비해 더 빠르게 공개되고 있다는 점 역시 이런 흐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대선 본선까지 염두에 둔 행보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선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원 민심을 공략하는 데에도 유용한 어젠다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단기간이라도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한 뒤 문재인 정부 때 썼던 청와대를 보수해 들어가고, 차기 정부 임기 내에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는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행정수도 이전을 위해서는 개헌이 동반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만큼, 실제 이전이 이뤄지기까지는 많은 관문이 남아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동연 후보는 “개헌을 추진하며 지방분권과 자치 발전의 구체적인 내용을 헌법에 담는 기조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등 세종 이전을 위한 개헌에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전 세부 계획 등에서 주자들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큰 취지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으니 토론을 거쳐 접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참석하는 첫 방송 토론회가 18일 오후 8시30분 MBC 주관으로 열린다. 80분간 진행되는 이번 첫 경선 후보 토론회에서는 정치와 경제·외교·안보, 사회 등 3가지 분야를 다룬다. 사회자의 공통 질문 및 주도권 토론 방식으로 진행된다. TV조선이 주관하는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두 번째 TV토론회는 오는 25일 오후 10시 진행될 예정이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