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노동단체 “중대재해 재발방지 대책 마련” 촉구
전남서 3월 한달간 노동자 5명 사망
지자체·노동부의 무대책 등이 원인
“책임있는 대응 구조 마련할 것” 요구
지자체·노동부의 무대책 등이 원인
“책임있는 대응 구조 마련할 것” 요구
2025년 04월 09일(수) 18:26 |
![]() 9일 광주·전남 노동안전보건지킴이 등 노동단체들이 순천 동부청사 앞에서 전남도를 향해 중대재해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광주전남노동안전보건지킴이 제공 |
광주·전남노동안전보건지킴이 등 노동단체들은 9일 오전 순천 동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월 한 달간 전남에서만 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노동부의 ‘중대재해 발생 알림’을 통해 확인된 사고는 4건이며, 제보를 통해 확인된 사고도 1건이 있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노동단체는 “지자체의 무대책, 노동부의 형식적인 대책에 노동자들이 숨지고 있다”며 “사고 유형도 끼임, 추락, 자재, 낙하 등 다양하게 나타나 산업 전반의 구조적 안전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광주지방노동청장이 공장을 방문해 ‘모범적인 회사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한 지 하루 만에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렇게 심각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대재해 재발 방지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사고 원인 분석 및 제도적 개선도 제자리걸음이고 사고가 날 때마다 ‘유감’ 수준의 대응에 그치며 사후 약방문식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노동단체는 또 “사고 인지 및 원인 분석 시스템도 부재하다. 노동부 공식 발표 외에 현장 제보로만 파악되는 사고가 존재한다는 것은 전남 차원의 재해 인지 체계가 현장과 괴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원인 조사 역시 늦어지며 그 결과도 불투명하게 공유되는 등 책임 있는 대응 구조가 마련돼 있지 않다”면서 구조적인 문제 개선을 요구했다.
이정준 기자 jeongjune.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