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제다문화’ 국가유산청 전승공동체 전국 유일 선정
(사)고려천태국제선차연구보존회 사업 추진
전승환경 구축 위한 조사·연구, 교육 등 진행
전승환경 구축 위한 조사·연구, 교육 등 진행
2025년 03월 25일(화) 11:15 |
![]() 지난해 순천시에서 (사)고려천태국제선차연구회 제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찻잎을 비비고 있다. 순천시 제공 |
25일 순천시에 따르면 고려천태국제선차연구회는 국가무형유산 공동체 종목을 대상으로 한 이번 사업의 ‘제다’종목에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승공동체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고려천태국제선차연구보존회는 사찰제다 등 조계산권 제다문화의 지속가능한 무형유산 전승환경을 만들어 가기 위한 조사·연구, 교육 및 전시·공연·체험 등을 통해 자율적인 전승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먼저 보존회는 내달부터 조계산권 제다 전승 문화 기록화를 비롯한 구초구포 작설차 제다법 및 전승공동체 전수교육 등을 펼칠 예정이다.
이어 차·울력 전승공동체 조직화 사업, 청년제다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차 개발, 사회적 배려계층 차문화 향유기회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순천 지역 차 역사문화는 천태종을 창종한 대각국사에서 시작돼 1000여년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대각국사외집’, ‘동국이상국집’, ‘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지리지’ 등 고려와 조선을 아울러 다양한 고전문헌이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1914년 근현대 시기 전남에서 최초로 조성된 재배차밭이 향림사 일원에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장미향 고려천태국제선차연구보존회 이사장은 “조계산권에는 송광사와 선암사, 향림사 등 사찰 제다문화를 비롯해 조선시대 차밭인 조승훈가 등 유가의 제다문화, 민가의 전통홍차 등 다양한 제다양식이 존재한다”며 “순천 지역 제다문화를 전승공동체 형식으로 발전시켜 한국 제다문화의 중심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노관규 순천시장은 “순천은 1000년의 차 역사문화가 사찰제다 형식으로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며 “이를 알리기 위해 한·중·일이 함께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한국 전통차를 세계화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순천=배서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