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534억 투입 ‘소상공인 지원사업’ 펼친다
소비촉진·경영부담 완화 등 중점
4대전략 총 37개 사업 마련 추진
전통시장 지역명소화 모델 개발
“맞춤형 지원으로 골목상권 활력”
4대전략 총 37개 사업 마련 추진
전통시장 지역명소화 모델 개발
“맞춤형 지원으로 골목상권 활력”
2025년 02월 24일(월) 13:09 |
![]() 광주시는 지속되는 경기침체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사업비 534억원을 투입, 민생경제 회복에 총력을 기울인다. 사진은 지난 1월21일 강기정 광주시장이 설명절을 앞두고 광산구 송정매일시장을 찾아 상인들을 격려하며 전통시장 화재공제 가입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모습. 광주시 제공 |
고물가, 고금리에 내수 침체까지 겹쳐 소상공인들의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비상계엄으로 소비 위축까지 더해짐에 따라 광주시는 올해 소비 촉진과 경영부담 완화에 중점을 두고 소상공인 지원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소비 촉진 및 경쟁력 강화 △경영부담 완화 △재기 지원 △전통시장 활성화 등 4대 전략, 37개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을 지원한다.
광주시는 먼저 소비 촉진을 위해 광주상생카드 10% 특별할인을 2월까지 이어간다. 상생카드 사용자에게는 월 50만원 내에서 할인(7~10%) 혜택을 제공하고, 연매출 5억원 이하 가맹점에는 카드수수료 전액을 지원(0.25~0.85%)한다. 또 공공배달앱을 지속 운영하고, 할인 프로모션과 소비자 배달료 지원 등을 통해 소비 촉진을 도모한다.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추진한 디지털 전환, 상품화 지원, 우수 상권 육성사업(3개소)을 올해도 지속한다.
소상공인들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소상공인 특례보증 사업을 지난해보다 200억원 늘려 170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특례보증을 통해 업체당 5000만원까지 대출을 해주고, 3~4%의 대출이자를 1년간 지원한다.
광주시는 특히 연매출 5000만원 이하 소상공인들에게 중소금융권 금융비용(대출이자 35만원 한도)을 지원하는 ‘영세 소상공인 중소금융권 금융비용 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1인 자영업자와 10인 미만 근로자 고용 사업장에 대한 고용·산재보험료 지원(20~100%), 신규채용 인건비 지원(월 50만원, 최대 3개월) 사업도 지속한다.
위기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재기를 뒷받침하는 지원사업도 펼친다. 주치의센터에서는 환경변화에 대응해 경영 역량을 강화하고 재기를 지원하는 컨설팅을 실시한다. 소상공인 대표적 공제인 노란우산공제 가입 장려금(2만원, 12회)을 지원하고, 금융소외자의 경제적 재기와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운영 중인 빛고을론 신규 대출자에게 대출이자를 지원(최대 3.5%)한다.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설과 환경을 개선하고, 상인 역량 강화 사업도 추진한다. 충장로와 광주송정역 2개 상권을 대상으로 특색을 반영한 상권 환경 개선 및 활성화 등 르네상스 사업을 진행한다. 노후화된 전통시장의 시설 개선과 고객 편의를 위한 아케이드 보수 등 시설현대화 사업도 시행한다. 화재에 취약한 전통시장에 화재공제를 지원(가입보험금 60%, 최대 12만원)해 신속한 피해 복구와 생활 안정을 도모한다. 또 전통시장·상점가 상인회에 매니저 인건비 지원을 통해 상인조직 자생력을 강화한다.
특히 올해 새롭게 ‘전통시장 특화사업’을 추진한다. 지역명소화 프로그램으로 지역 로컬자원과 연계한 재미와 즐길거리가 있는 전통시장 활성화 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주재희 경제창업국장은 “어려운 시기이지만 소상공인들의 땀방울이 헛되지 않도록 광주시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줄 것”이라며 “맞춤형 지원을 통해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들도 민생경제에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광주상생카드와 공공배달앱 이용에 적극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