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132-3>소비와 투자 확대하고 시민생활 부담 완화
광주시, 민생경제 9800억 투입
공공배달앱 확대·재정 신속집행
대중교통비 지원·출생축하금도
“추경 편성, 직접 지원 확대해야”
2025년 02월 23일(일) 18:30
지난 1월23일 광주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 광주’ 결의대회에 참석한 경제단체, 산업계 등 76개 기관, 단체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와 산하기관이 침체된 민생 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 소상공인과 기업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에 나섰다. 정부의 추경 예산 확보를 통한 대규모 지원이 시급하지만, 우선 시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을 진행 중이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올해 올해 총 사업비 9800억원을 투입한다. 광주시는 경기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침체 등 민생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올해 신규 12개, 확대 38개, 지속 47개 등 총 97개 사업을 추진한다.

소비와 투자를 확대해 경기 회복의 핵심 동력을 강화하고, 시민생활 부담을 줄여 지역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다.

광주시는 우선 △광주 방문의 해 운영 △착한소비 캠페인 △광주상생카드 할인 발행 △광주공공배달앱 확대 운영 △지방재정 신속집행 등 소비의 그릇을 키우는 소비촉진 정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무엇보다 신속집행 대상 6조8253억원의 63%에 해당하는 4조3000억원을 올 상반기에 집중 집행, 소비를 촉진해 경기회복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 시민생활 안정을 위한 ‘부담 경감’ 정책으로는 △광주형 대중교통비 지원(광주G-패스) △출생가정 축하 광주상생카드 △소상공인 육아응원 패키지 지원 △광주다움 통합돌봄 △소상공인 특례보증 자금 및 이자 지원 △중소기업 자금 지원 등을 추진한다.

광주G-패스 사업은 대중교통비 어린이 무료, 청소년·어르신 반값(50% 할인) 혜택을 제공해 시민가계 부담을 경감하고 대자보 도시를 실현할 계획이다. 또 출생가정(6000명 대상)에는 출생축하금 200만원과 함께 출생아 1인당 상생카드 50만원을 지원해 출산가정의 가계 부담을 줄이고 양육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

광주 소상공인 육아응원 패키지 사업은 소상공인의 돌봄 공백과 1인 여성 자영업자의 임신·출산으로 인한 경영 공백을 해소할 수 있도록 280여명에게 소상공인 아이돌봄 서비스를 실시한다.

1자녀의 경우 360만원, 2자녀 이상은 540만원 내에서 지원되고, 임신·출산 1인 여성 자영업자 대상 대체인력비(300만원 한도)도 지원한다.

6000여명의 광주다움 통합돌봄 대상자에게 기존 생활돌봄 10종에 3종을 더해 더 두터운 지원으로 취약계층의 생활 향상을 도모한다.

창업기업 지원도 강화한다. 올해 5월 개관하는 빛고을창업스테이션은 110개사 창업기업의 세계 진출과 액셀러레이팅 지원 등 창업기업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운영된다. 창업 아이디어를 실제 사업화로 전환할 수 있도록 광주 전역을 혁신기술의 시험무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50개 기업의 기술 검증 및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한다. 빛고을창업스테이션 전용 펀드(30억)도 조성할 예정이다.

여기에 공공부문 일자리를 확대해 9만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기존 3만8457명에서 4만2833명으로 인원을 확대 모집한다. 대상자는 장애인, 중장년, 노인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여전히 갈길은 멀다. 지역시민단체는 광주경제를 살릴 핵심 과제로 ‘소비 촉진’이 가장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김승재 광주상인연합회장은 “실효성 있는 경제 대책을 위해 국회 차원의 추경 편성이 절실하다. ‘실질적인 소비 촉진’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특례보증이나 지역화폐 등 지자체가 소상공인을 직접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결국 지역 내에서 돈이 돌아야 내수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광주시당위원장은 “내수경기 침체와 자동차 등 주력 수출 분야의 급감으로 광주 경제가 암울한 상황이다”며 “지역 의원들과 민주당은 신속한 추경 편성·추진으로 소상공인 지원과 광주AI 집적단지 2단계, 지하철 2호선 사업 등 지역 활성화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12·3내란 충격과 트럼프 2기 출범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지역 의원들은 큰 틀에서 조기 대선 준비와 함께 호남 발전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중앙당과 논의해 나가겠다. 호남 미래 성장동력으로 현재 AI·모빌리티·친환경 에너지 등을 생각 중”이라고 덧붙였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지역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위해서는 각계각층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며 “그것이 민생경제 회복의 열쇠다”고 강조했다.
노병하·정성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