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산림의 공익 가치 시·도민 스스로 지켜야
산불, 진화보다 예방이 최선
2025년 02월 03일(월) 17:22 |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5667건의 산불이 발생해 산림 4만37㏊와 주택·건축물 등에 많은 피해를 입었다. 여의도 전체 면적 290㏊의 138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발생한 산불도 567건에 이른다. 광주·전남지역 산불도 최근 10년간 연평균 40여건, 피해 면적 또한 110㏊에 이른다.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바람까지 강하게 부는데다, 화재에 취약한 소나무가 산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주·전남으로서는 산불조심 기간인 지금이 산불의 위험이 가장 큰 계절이다.
산불이 주는 피해는 엄청나다. 산림이 파괴되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고 토양의 영양물질이 소실되면서 홍수피해가 증가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기후변화를 가져올 가능성도 높다. 목재, 가축, 임산물 소득 등 경제적 손실과 함께 관광객 감소와 대기 중 연무농도에 따른 사회적 손실도 크다. 산불이 대부분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로 일어난다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산불 원인 가운데 입산자에 의한 실화 32.9%, 쓰레기소각 12.6%, 논·밭두렁 소각 11.9%로 전체 산불의 절반이 넘는 원인이 사람에 의한 실화나 소각행위로 나타났다.
산불은 평소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막을 수 있다. 산림청과 소방서, 자치단체가 아무리 완벽한 비상대비체제를 갖추더라도 시·도민 스스로가 경계하고 관심을 쏟지 않는다면 산불은 피할 수 없다. 모든 재해가 그렇지만 산불도 진화보다는 예방이 최우선이다. 산림은 우리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세대에서 피땀으로 이룩한 소중한 자산이다. 화폐로 가늠할 수 없는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시·도민 스스로가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