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형일자리 대타협의 가치 살려내야
‘윈윈 모델’ 초심 잊으면 안돼
2024년 11월 17일(일) 17:20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조 설립과 관련된 강기정 광주시장과 GGM 노조의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노조 결성이 유감’이라는 강 시장과 이 발언이 헌법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노조 측 입장이 대립하고 있어서다. 어렵게 광주에 자리를 튼 GGM의 갈 길이 먼 상황에서 안타까운 일이다.

GGM은 지난 문재인 정부시절인 2019년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국내에서 23년만에 설립된 완성차 공장이다. 설립초기부터 노사 상생이라는 광주형 일자리를 적용한 첫 모델로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국내 제조업의 고질적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았다. 노동자에게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업 또한 적정한 수익을 얻는 ‘선순환 경제’를 실현시키기 위해 기업과 노조, 시민과 광주시가 머리를 맞대 만든 결실이라는 의미도 크다. 비록 연봉은 낮을 수 있지만, 지역의 고용을 늘리고 지역 경제도 살리는 ‘윈윈 모델’의 시작을 벅찬 마음으로 지켜봤던 출범 당시가 어제 일처럼 눈에 선하다.

노조 결성과 활동은 헌법이 보장한다는 노조 측 주장은 백 번 맞는 말이다. 문제는 갓 출범한 GGM의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미래다. 당장 GGM은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살아남아야 한다. 자신들이 만든 상품을 자신의 이름으로 당당하게 판매하지 못하는 위탁생산의 한계에서 지금 같은 갈등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을 혼류 생산하는 초유의 모델을 정착시키는 것도 노사가 한마음 한 뜻으로 힘을 합해야 이룰 수 있는 어려운 과제다.

광주형일자리가 수많은 논의를 거쳐 사회적 합의로 완성될 수 있었던 것은 임금이나 처우 보다 상생과 지역 살리기에 더 큰 가치를 뒀기 때문이다. 지금 노조가 가야할 길은 노·사·민·정의 대타협을 이뤄낸 상생의 취지를 살리는 것이다. 광주시도 제 1주주로서 지역사회와 약속했던 사회적 비용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광주형일자리는 시민과 지역경제계, 노동계, 자치단체가 서로가 양보하면서 만들어낸 광주의 미래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