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차도 안전시설 미비…기습폭우에 ‘속수무책’
장마 기간 광주 침수사례 10건
비상사다리·핸드레일 등 ‘전무’
전남 진입차단시설 10곳 중 1곳
道 “상습침수지역 최우선 설치”
비상사다리·핸드레일 등 ‘전무’
전남 진입차단시설 10곳 중 1곳
道 “상습침수지역 최우선 설치”
2024년 08월 19일(월) 17:45 |
광주 효덕지하차도 전경. 효덕지하차도를 비롯한 광주시 내 대부분 지하차도에 비상대피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건호 기자 |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내 주요 지하차도 8곳 중 △비상사다리 △대피 유도 핸드레일 등의 비상대피시설이 설치된 지하차도는 단 한 곳도 없었다. 비교적 최근 만들어진 남구 소재 효천지하차도도 마찬가지다.
비상대피시설은 지하차도가 물에 잠길 시 지하차도 이용자가 옥외로 탈출할 수 있도록 대피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올 장마 기간 동안 광주에서 10여건의 지하차도 침수가 발생했지만 기존 설치된 진입차단시설 외에는 인명피해를 막을 안전시설이 전무한 셈이다.
반면 지난 2020년 7월 초량 지하도 참사를 겪은 부산시의 경우 지하차도가 침수되더라도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2026년까지 지하차도 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진입차단시설의 경우 의무화가 돼 있기 때문에 국비를 투입할 수 있지만, 비상대피시설은 아직 국비나 시비를 투입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참사 재현을 막기 위해 시에서도 시시각각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즉각적인 대응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전남의 경우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전남도의 경우 설치 의무인 진입차단시설 조차 대상 지하차도 총 10곳 중 단 한 곳에만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설치 의무 대상 21곳 중 단 한 군데도 설치하지 않은 대구 다음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설치율(10%)이다.
전남도는 지난 6월 사업비를 확보했지만 각 시·군과의 협의와 예산 책정 문제 등으로 기한이 밀리면서 본격적인 장마철인 7월 내 설치를 완료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비상대피시설 역시 마찬가지다. 전남 도내 주요 지하차도는 △순천 10곳(장천·조례·풍덕·용림·조곡·구암·체육관·서면·향매·강변) △여수 5곳(석창·상암·호명·반월·진남) △광양 2곳(서천 도월·서측 배후도로) △목포 1곳(옥암) △무안 1곳(오룡) △장성 1곳(장성역) 등 20곳이다. 20곳 모두 매년 장마·태풍 때 침수 사례가 접수되고 있지만, 진입차단시설은커녕 비상사다리를 비롯한 비상대피시설 설치는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최근 들어 열대성 호우인 스콜을 닮은 ‘초국지성 호우’가 광주·전남에 자주 발생하면서 시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광산구에 거주 중인 김정민(34)씨는 “아파트 단지로 들어가는 유일한 길이 지하차도인데 차도가 침수될 때마다 만약 그 상황에 차도를 지나가고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종종 들곤 한다”며 “폭우로 침수되는 상황이야 어쩔 수 없다지만 만약 차도에 갇히기라도 한다면 스스로 탈출을 시도할 수 있는 시설 정도는 마련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진입차단시설 설치 완료를 위한 마무리 절차 중에 있으며 이르면 이달 내에 일부 설치를 마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며 “특히 지하차도 침수가 빈번한 지역을 우선으로 시설을 조속히 설치하고 지역 교통안전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