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창·윤영백>상장(賞狀)의 정치학, 스승의날 감사장과 메이펠로우
윤영백 광주교육시민연대 공동대표
2024년 06월 05일(수) 14:31 |
윤영백 광주교육시민연대 공동대표 |
잘한 일을 칭찬하고 싶을 때 상을 준다. 수상 자체만으로 받는 이에게 명예나 성공의 기반이 되기도 하고, 상에 딸린 혜택이 받는 이의 노고를 위로하기도 한다. 상을 못 받은 이는 단상 위에 올라간 이를 부러워하며, 분발을 다짐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을 주는 일은 특정 행위를 토닥이고, 격려하는 일이므로 ‘어떤 세상을 만들자’고 공동체 구성원을 북돋우는 정치적 행위일 수밖에 없다. 대체로 상을 주는 이의 힘이 셀수록, 상 주는 손이 공평하고 전문적일수록, 상을 받은 까닭이 그럼직할수록 상은 더 큰 권위를 갖게 되고,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이를 상장의 정치라 한다면, 시상자의 권위, 공평타당한 기준, 수상자의 공로, 이 세 가지가 선순환될수록 상장의 정치는 건강해지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타락의 길을 걷게 된다. 상을 주고받은 일이 사법적 판단 대상이 되거나 받은 상을 반납하기도 하고, 주었던 상을 회수하는 일이 벌어지는 건 다들 상장 아래에 묵직한 정치가 있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이번 스승의날, 광주시교육청은 해괴한 상장 정치를 하고야 말았다. 보통 교육감 명의로 주는 상, 특히 학부모에게 주는 감사장은 학교 현장의 추천이 핵심인데, 지원청 심사까지 통과한 건을 본청이 휴지통에 넣어 버린 것이다. 수백 건 중 하나를 꼭 집어서. 아마 스승의날 시상이 시작된 이래 전국적으로나 역사적으로 처음 있는 일일 것이다. 계획한 수만큼 현장에서 대상자를 추천하지 않는 데다가 현장의 추천을 교육청 책상에서 엎을 명분, 판단 근거, 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본청에서 현장 추천을 뒤집는 일은 당사자에게 창피를 주는 일이기 전 그를 추천한 학교장과 심사한 교육장을 모욕하는 일이다.
휴지통으로 들어간 감사장의 주인공은 누구였을까? 하필 그는 광주는 물론 전국적으로 칭송받는 교육 분야 시민운동가였다. 그 이름도 유명한 박고형준. 얄궂게도 그는 지난주 5월27일 5·18민주광장에서 각계 인사들의 축복 아래 “광주 교육 현장 부조리와 맞서 온” 공로로 ‘메이펠로우’로 선정돼 상패와 1200만원의 후원금을 받았다.
메이펠로우는 ‘광주의 5월을 현재로 잇는 청년 활동가’로 해석되는데 사단법인 광주마당과 윤상원기념사업회, 5·18나우(NOW)가 주관해, 2021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수상자를 선정했다. 주관 단체는 광주 교육과 관련된 비판과 문제 제기를 주요 공적으로 들었다. 한쪽에서는 ‘5월 정신을 이었다’며 상을 주고, 다른 한쪽에서는 ‘공적(문제제기)을 악성 민원(문제발생)쯤으로 간주’하며 상을 뺏는 일이 같은 도시, 같은 인물, 같은 행적을 두고 같은 달 5월에 벌어진 것이다.
동시적으로 지독하게 비동시적이어서 우스꽝스럽기도 하고, 상장 뒤에서 이토록 병든 정치를 꾸미는 자들이 광역 단위 교육행정을 마음껏 주무르는구나 싶어 슬픔과 분기가 울컥 솟기도 한다.
사실, 광주시교육청의 이 같은 행태는 상장의 정치라기보다 블랙리스트 정치에 가깝다. 누군가를 격려하거나 그러지 않는 범주를 벗어나 정치적으로 불편한 이의 공로를 배제하고 삭제하려는 시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교육 공로를 치하는 날 공로자를 모욕하는 부조리를 껌처럼 경박하게 씹어대면서. 상장의 정치는 밝은 광장에서 작동하지만, 블랙리스트 정치는 어둠의 마법처럼 밀실에서 피어오른다.
몇몇 교육청 관료의 사적 앙심이 단위 학교의 추천, 교육지원청의 심사를 뒤집어 가면서까지 공적 심사 시스템을 훼손한 것이라면, 이는 매우 심각한 범죄다. 또한, 누군가의 공로가 삭제되는 정치가 횡행하는 곳에서 누군가의 공로는 부풀려지기도 쉬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문득 연암 박지원의 소설 ‘호질’에 등장하는 북곽선생과 과부 동리자가 떠오른다. 이들은 당대 최고의 학문과 절개로 천자에게서 상까지 받는데, 실상 북곽 선생은 간단한 시 한 편 못 쓰는 허당이고, 동리자는 아이가 다섯인데, 그들 성이 모두 다르다. 상의 이름과 실체 사이에 이토록 대단한 부조리가 생긴 이유는 북곽선생은 논문의 두께로 최고 학자 대접을 받고, 동리자는 미모와 몸매로 모범 시민상을 받은 탓이다.
얼핏 북곽선생이나 동리자가 풍자의 대상이 된 듯 보이지만, 연암이 진정으로 겨누고 있는 과녁은 상에 대한 기본적 판단력과 상식적 기준조차 잃어버린 위정자와 타락한 정치가 아니었을까.
동리자의 자식들에게 불륜을 들킨 북곽선생은 맞아 죽을 위기를 피해 도망가다 똥거름에 빠지고, 호랑이 앞에 엎드려 목숨을 구걸한다. 진짜 똥거름에 빠진 건 북곽선생이 아니라 당시의 정치 시스템이다. 소설 마지막에서 똥거름을 묻힌 채 허세를 부리는 북곽선생과 동틀 무렵 밭을 일구러 나가는 농부를 연암이 한 장면 안에 대비시킨 것은 의미심장하다.
어두운 밤, 똥거름에 빠져 허우적댈 것인가? 동트는 새벽, 교육의 밭을 일굴 것인가?
존경하는 시민운동가 박고형준이 ‘메이펠로우’에 선정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