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1명 출산 2.6명 사망… 인구데드크로스 심화
2013년 첫 진입… 10년새 13.9배↑
광주도 2020년부터 인구 감소세
도내 연 출생아 100명 이하 4곳
“일자리 창출 청년 유출 방지를”
2023년 07월 06일(목) 18:14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앞줄 가운데)과 문금주 전남도 행정부지사(앞줄 오른쪽 네 번째)가 지난 5월 도청 서재필실에서 열린 ‘저출산 대응 2030 전남청년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전남 청년들은 정부와 지자체에게 획기적인 출산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난해 1명이 태어날 때, 2.6명꼴로 사망하는 등 전남지역의 ‘인구 데드크로스’가 심화되면서 우울한 ‘인구의 날’(7월11일)이 될 전망이다. 전남은 지난 2013년 인구 데드크로스 첫 진입 이후 10년 만에 출생아와 사망자 간 격차가 13.9배까지 벌어졌다. 광주시는 2020년부터 인구 데드크로스가 본격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아수의 급감이 인구 자연감소의 주원인으로 분석되면서 출산 장려,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 인구 유출 방지 등의 인구정책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호남통계청 등에 따르면 전남도의 인구 자연증감이 지난 2013년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에 첫 진입했다. 당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931명 더 많았다.

전남의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은 해를 거듭할수록 심화되고 있다. 2022년 말 기준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1만3000명 더 많아져 지난 2013년보다 10년새 13.9배 격차를 보였다.

출생아수의 급감이 전남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전남이 인구 데드크로스에 첫 진입한 지난 2013년 기준 출생아는 1만5401명에서 지난해 7900명으로 줄어 10년새 48.7% 급감했다. 반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고령화율에도 지역 내 사망자 증가 폭은 완만했다. 2013년 사망자는 1만6332명에서 지난해 2만900명으로 10년간 21.8% 증가에 그쳤다.

광주시도 지난 2020년 인구 데드크로스에 진입했다. 2020년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467명 더 많았다. 2021년 -25명, 2022년엔 -1900명으로 사망자와 출생아수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며 인구가 줄고 있다.

인구 감소가 가파른 전남 시·군 중에는 지난 2021년 기준 인구 데드크로스에 미진입한 곳은 광양시가 유일하다. 광양시의 경우 출생이 사망보다 50명가량 많았다.

인구 데드크로스는 저조한 출산율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전남 22개 시·군 중 지난 2021년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곳은 곡성군(44명), 구례군(87명), 보성군(91명), 함평군(83명) 등 4곳이다. 반면 22개 시·군 중 출생아수가 1000명 이상인 시·군은 여수시(1356명), 순천시(1563명) 2곳뿐이다.

인구 자연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저조한 출산율을 높이는 게 급선무로 떠오르고 있지만, 출산장려금 정책에 대해 전문가들은 회의적인 분위기다. 결국 풍부한 일자리 조성을 통해 청년 유출을 방지하고 유입을 통해 ‘결혼→출산’으로 이어지는 중장기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대성 광주전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광양시의 출생아수가 그나마 많은 이유는 결국 젊은 인구 구조 때문이다. 상업도시이다 보니 경제적 여건이 좋다. 일자리가 풍부하고 청년들도 많다. 민선 7기 때 교육보육아동센터재단을 만든 것도 이같은 분위기가 반영된 이유다”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결국엔 소득이 높고 고용안정이 보장된 일자리가 우선돼야 한다”면서 “청년들의 정착을 위해서는 복지가 아닌 일자리와 문화적·교육적 욕구를 풀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출생률 증가를 위해선 청년을 중심으로 정책이 만들어져야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도 자연스럽게 극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성수·최황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