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아픔 닮았을까... 청초한 꽃잎 우아하네
정연권의 야생화 사랑-수줍은 새악시 닮은 ‘둥근 이질풀’
연분홍 다섯꽃잎에 눈길
꽃꽂이.압화 소재로 인기
암석정원에 심어도 볼만
연분홍 다섯꽃잎에 눈길
꽃꽂이.압화 소재로 인기
암석정원에 심어도 볼만
2018년 08월 16일(목) 21:00 |
지리산에 오르면 야생화가 지천이다. 모시대, 병조희풀, 동자꽃, 정녕엉겅퀴, 산비장이, 범꼬리, 물봉선…. 그 중 둥근이질풀은 수줍은 색시마냥 둥글둥글한 자태가 일품이다. 연분홍빛 다섯잎의 꽃송이가 반긴다. |
더위도 피할 겸 지리산으로 향했다. 가는 길에 야생화 출석부를 들고 갔다. 구례군민이라는 자부심으로 출석을 부른다. 구례 사람이기에 이런 권리는 있지 않겠는가. 모시대, 병조희풀, 둥근이질풀, 동자꽃, 정녕엉겅퀴, 산비장이, 범꼬리, 물봉선…. 30여종이 제마다 특성을 뽐내며 반기어준다. 이름을 불러주고, 안부도 물어 본다. 가장 반기어 주는 정다운 친구가 있다. 수줍은 새색시 마냥 둥글둥글한 자태가 일품이고 아기자기함이 눈부시게 하늘거리는 ‘둥근이질풀’이다. 연분홍빛 다섯 잎의 꽃송이가 둥글둥글 모여서 도란도란 이야기 소리가 청량한 음율 같다.
살포시 나비도 왔고 구름은 스쳐가며 꽃잎을 흔들어 준다. 설사나 이질에 다려서 먹으면 효과가 있어 이질풀이라고 하는데 꽃잎이 둥글어서 ‘둥근이질풀’이라고 한다. 이명으로 ‘참쥐손풀’ ‘참이질풀’ ‘둥근쥐손이’라고도 한다. 학명이 Geranium koreanum Kom.이다.
속명의 제라늄(Geranium)는 제라노스(Geranos)에서 연유되었는데 학(鶴)이라는 뜻이라 한다. 종소명의 코레아늄(koreanum)은 대한민국에서 서식하는 특산식물을 말한다. 쥐손풀과로 전 세계에는 300여종이 자생하고 있고, 대한민국에는 16종이 서식하고 있다. 지리산 노고단 정상 주변에 둥근이질풀이 지천이다. 반그늘 혹은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식물 전체에 털이 조금 나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꽃은 연분홍색 꽃이 줄기 끝에 달려 우산모양으로 피는 산형(傘形)꽃차례 이다. 꽃 지름이 2㎝이고 꽃잎은 5개로 달걀 모양이며 꽃받침조각도 5개다. 둥근이질풀은 이질풀의 한 종류로 이질풀과 쥐손이풀과 비슷해 구별이 쉽지 않다. 잎 모양을 살펴보면 이질풀은 잎자루가 길며 3~5개로 갈라진다. 반면 둥근이질풀은 짧다. 쥐손이풀은 아주 길게 갈라진다. 꽃을 보면 확실히 구별할 수 있다.
먼저 꽃 크기가 50원 동전 정도라면 이질풀이고, 100원 동전 정도면 둥근이질풀 이다. ‘삼쥐오이’라는 말처럼 꽃잎에 줄이 3개면 쥐손이풀이고, 5개면 이질풀이다. 이질풀은 5개의 선명한 곡선이 있지만 둥근이질풀은 그물망처럼 여러 갈래로 퍼진다. 꽃잎의 선명한 그물망 중심에 우뚝 암술과 수술은 10개의 수술이 멋지게 포진돼 있다. 찬찬히 보노라면 또 다른 모습이 아려온다.
지리산의 슬픔과 아픔에 울어서 인가. 고통을 감내 하면서 참아서인가. 소리없이 울어서 눈에 실핏줄이 퍼진 것처럼 선명하다. 아린만큼 어여쁘다. 어여뻐서 가슴이 아프다. 그래서인가. 이질풀 중에서 제일 아름답고 우아한 야생화라고 한다. 열매가 익으면 터지고 종자는 사방으로 비산하므로 열매가 터지기 전에 따서 그늘에서 말렸다가 털어서 채종한다. 종자는 3도의 저온에 40일정도 처리한 후에 파종한다. 원예용 상토를 파종상자에 70% 채우고, 물을 주어 살짝 다진 후 다시 물을 주어서 골라 준다. 복토는 종자가 안보일 정도로 질석을 살짝 뿌려준다. 발아 적온인 15~21도로 관리하면 1주일 정도 후에 발아한다.
분주는 3월경 굴취 하여 한 포기에 눈이 3~4개가 되도록 나누어 심는다. 이때 묵은 뿌리의 일부는 잘라 버리는 것이 좋다. 햇빛을 좋아 하지만 반음지에서도 자라는 특성을 살려 암석정원(岩石庭園)에 이용한다. 식물특성이 지면을 기여 가며 자라므로 지피식물(地被植物)로서 적합하다. 정원 토양은 산도는 pH6.0정도 중성을 만들어 주는 생육이 좋다. 큰 화분이나 꽃 상자에 심어 현관이나 정원에 두고, 아파트는 베란다에 좋다. 분화재배용 화분은 지름이 30cm이상의 락소분이나 꽃 상자가 좋다. 용토는 마사에 원예용 상토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화분에 심은 것은 3년마다 분갈이를 해야 한다. 분갈이는 봄에 새싹이 트기 전이 적기다. 소품(小品) 꽃꽂이의 소재로 이용하는데 꽃꽂이 소재로 사용 할 때는 절단부를 수중에서 다시 자르면 흡수가 잘 되고, 꽃수명도 길어진다. 꽃은 압화(押花)소재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생약명은 노관초(老琯草)이다.
설사(泄瀉)하면 이질풀 이라고 할 정도로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과 배앓이, 위궤양, 종기 등에 특효민초들의 약초였다. 둥글둥글 예쁜 꽃으로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더니 잎줄기는 약성으로 민초들의 병을 낫게 해주는 고마운 이질풀 종류는 가정상비약이라고 할 수 있다.
어릴 적 풋것이나 상한 음식을 먹어 배가 아파서 울고불고 난리치면 아버지께서는 뒤안 정제(부엌) 벽에 엮어 놓았던 풀을 어머니께 주셨고, 이것을 끊여서 먹으면 거짓말처럼 싸악 나았다. 신비한 약초 이름이 ‘쥐손풀’ 이라고 하셨다.
야생화를 공부 하면서 쥐손이풀 이였고, 노고단일원에는 둥근이질풀 지천으로 있다는 것을 알았다. 쥐손이풀이야 낮은 산에도 있지만 집집마다 필요한 약초이니 귀했을 것이다. 노고단에 많이 서식하는 둥근이질풀을 채취하러 아버지는 4시간 이상을 가셨다. 등산화도 없고, 먹은 것도 변변치 못한 그 시절에 가족을 위해서 채취하려 다녀왔다니 감격 이었고 감사했다. 가장의 책무인가. 가장이라는 무게에 아버지의 어깨는 언제나 무거웠다. 아버지라는 이름에 아버지라는 자리는 고단한 것이다. 가족을 위해서 비굴함도 참고, 힘든 것도 참았다. 숨어 우는 바람처럼 속으로 울면서 당당하게 가족을 지켜왔다.
꽃말이 ‘새색시’이다. 연분홍 색채와 지면을 포근히 감싸 안으면서 피는 꽃무리를 보노라면 수줍은 새색시 같이 청초하고 싱그럽다. 아침 이슬의 영롱함이 더해서 둥글둥글 어여쁘다. 정말 꽃말을 잘도 지었다. 꽃 이미지와 자태에 잘 부합되는 꽃말이다. 노고단은 마고할미를 모시는 곳이다. 마고할머니 새색시 시절의 곱고 어여쁜 자태를 이 꽃에서 보았다. 찬란한 꽃잎에서 누구나 젊음과 싱그럽고 아름다운 시절을 있었음을 보았다. 구름을 벗 삼아 피어나 바람에 흔들려 고운 자태를 뽐내며 영원한 젊음을 향유하고 있다.
세계 유일 국내서만 자생…지리산 노고단에 핀 ‘송이풀’
송이송이 꽃송이가 피어난다. 솔방울 같은 잎에서 홍자색 꽃잎이 쏘옥 바람개비처럼 나온다. 빙글빙글 돌고 팔랑팔랑 돌아서 돌아가는 바람개비에 시원한 바람이 일어 지리산은 그렇게 시원하고 향기가 가득하나 보다. 청량한 바람이 좋았다. 바람소리가 마음을 잡는다. 바람에 구름도 다가오고 잠자리도 무리지어 왔나보다. 홍자색의 바람개비 꽃이 화려하지 않지만 순수하고 특이한 현삼과의 ‘송이풀’을 만났다.
꽃봉오리 끝에 꽃이 핀 듯 안 핀 듯 송이를 이루기 때문에 유래된 이름으로 ‘송이꽃’이 아니라 ‘송이풀’이라고 한다. 송이가 날 때 꽃이 피는 야생화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에만 자라는 특산식물로 산에서 만나기 어려운데 노고단 정상 바위 뒤에 숨어 피고 있었다.
구슬송이풀, 수송이풀, 마선호 라고도 부르며 해발1500m 고산에 많다. 줄기는 사각형에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초장은 50~60㎝다. 꽃은 자홍색이며 줄기 상단부의 잎겨드랑이에서 한 개씩 꽃잎이 나온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으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자태다. 화분에 심어서 감상하기 좋으나 쓰러지기 쉬우므로 적심으로 조절한다.
정원에나 화단에 심어도 무난히 감상 할 수 있다. 생약명으로 ‘마뇨소(馬尿燒)’라고 한다. 글자 그대로 하면 ‘말 오줌을 사른다’는 뜻인데 왜 이런 이름을 지었는지 무엇보다 명쾌한 답이 없지만 변비, 관절통증, 피부염, 이뇨 등에 효능이 있다. 꽃말이 ‘욕심’으로 좀 의외다. 송이라는 고운 이름에 피어나는 형태가 특이한데 욕심이라니 말이다. 잎 사이에 하나씩 나온 꽃잎이 화려하지 않고 그저 어여쁜 모습이라 욕심이 없는 것인지. 욕심이 많은 것인지. 그렇다. 송이라는 순수하고 이름이 연유하듯 욕심이 없는 것이리라. “그래, 송이야~ 세상을 욕심을 날려버리는 싱싱한 바람을 불어다오.” 욕심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이 될 수 있도록 마음을 비우고 싶다. 이기적인 욕심과 원망에서 벗어나자.
욕심을 버리면 소확행을 누릴 것인데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송이꽃에서 나오는 바람을 타고 날아가고 싶다. 못난 생각과 욕심을 버리는 바람이 일렁이고 있다. 일렁이는 바람에 몸과 마음을 비워 보내자.
정연권의 야생화 사랑
경남 과학기술대학 겸임교수
한국야생화 사회적협동조합 본부장
전 구례군 농업기술센터 소장
kj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