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지자체들 올해 최악 재정난
재정자립도 10% 이내 시ㆍ군 14곳… 작년 두배
감세ㆍ복지 부담… "효율적인 세수 개편 필요성"
감세ㆍ복지 부담… "효율적인 세수 개편 필요성"
2014년 03월 11일(화) 00:00 |
![]() |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2014년도 전남도와 22개 시ㆍ군의 재정수입 자체 충당능력을 나타내는 세입지표인 재정자립도를 조사한 결과, 재정상황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재정자립도는 13.8%로 6년 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22개 시ㆍ군 중 재정자립도 10% 미만 지자체는 총 14곳이나 달했다. 지난해 7곳보다 두 배 늘어난 수치다.
재정자립도가 하락한 데는 박근혜 정부 들어 수도권 집중화가 가속화되고 있는데다 경제난과 정부의 각종 감세정책과 복지예산 부담 등의 재정적 부담이 지방정부로 고스란히 전가된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전남도의 재정자립도는 13.8%다. 2009년 10.4%를 비롯해 2010년 11.5%, 2011년 13.5%, 2012년 14.6%, 2013년 16.3%였던 것을 감안하면 무려 6년 만에 첫 하락세를 보였다. 전남지역 일선 시ㆍ군은 최악의 재정난으로 자칫 기초단체 '파산'이 현실화될 우려도 낳고 있다.
전남 5개 시는 모두 재정자립도 두 자릿수를 지켰다. 광양시가 재정자립도가 30.7%로 재정상황이 가장 좋은 편이었다. 여수시 26.4%, 목포시 21.1%, 순천시 18.3%, 나주시 13.6%로 뒤를 이었다.
17개 군의 재정상황은 거의 바닥을 드러냈다. 담양군 9.7%, 영광군 9.3%, 장성군 7.6%, 곡성군 6.9%, 강진군 6.5%, 구례군 6%, 해남군 6%, 함평군 6%, 보성군 5.8%, 고흥군 5.7%, 장흥군 5.7%, 진도군 5.2%, 신안군 5.1%, 완도군 5% 등의 순이었다. 이중 완도가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5%대만 6곳에 달한다.
화순군 19.2%, 영암군 15.9%, 무안군 10.5% 등은 군 단위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전남지역 일선 시ㆍ군의 재정자립도는 지속적인 뒷걸음 행보를 보였다. 시ㆍ군 평균 재정자립도는 지난 2012년 17.2%, 2013년 16.7%로 올해는 2년 사이 4.4% 감소한 12.8%를 기록했다.
전남발전연구원 오병기 실장은 "지방세의 비중을 늘려 재정지출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세수 개편이 필요하다"면서 "맞물려 새로운 세수 발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대책도 내놓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성수 기자 sskim1@jnilbo.com